‘안산지역 고교 평준화 실시’를 요구하며 8일째 천막농성 중인 학부모들이 31일 경기 안산시청 앞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지난 24일 학부모 2015명의 서명을 받아 청원서를 경기도 교육감에게 냈다.
클릭!현장속으로
안산 학부모들, 천막농성…광명·의정부도 요구 빗발
경기교육청 “평준화 해제 여론도 만만치 않아…” 올해 중학교 1학년과 초등학교 3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이형두(42·회사원)씨는 아이들의 고교 진학을 생각하면 마음이 편치 않다. 얼마 전 아들이 다니는 학교의 명예 시험감독을 했던 그는 “고교 진학을 앞두고 내신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컨닝’이 심해 1·2학년을 섞어서 시험을 보더라”며 “중학교부터 경쟁에 내몰린 아이들의 얼굴에는 생기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씨가 사는 안산은 경기도에서도 대표적인 비평준화지역. 안산지역 19개 고교 중 3개 정도의 ‘명문고’에 진학하려고 매년 광명 시흥 안양지역에서 1천여명의 중학생들이 몰려오면서 같은 수 만큼 안산지역 중학생은 외지로 밀려나고 있다. 2시간 이상 걸리는 통학거리도 문제지만 공부를 못해 ‘기피 학교’로 갔다는 자괴감이 한창 예민한 청소년기의 학생들을 일찌감치 잘못된 길로 이끄는 것을 지켜봤던 이씨는 마침내 지난 24일부터 업무가 끝나면 고교평준화 실시를 요구하는 시민단체 농성에 참여하고 있다. 이씨와 같은 안산지역 학부모들의 모임인 ‘안산시민연대’가 안산시청 앞에서 ‘안산지역 고교평준화 즉각 실시’를 요구하는 천막 농성에 돌입한 지 31일로 8일째를 맞았다. 시민연대 김활신 위원장은 “안산은 학부모의 72.3%가 평준화에 찬성하고 고교 평준화를 실시할 충분한 여건인데도 경기도 교육청이 이를 미루는 것은 다수 학생을 중학교 때부터 입시지옥으로 내모는 행위”라며 평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기도에서는 이밖에 광명과 의정부지역 학부모들도 평준화 실시를 요구하고 있다. 김진춘 경기도 교육감은 2005년 이들 학부모들 진정에 대해 “한국교육개발원의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결과가 나온 뒤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학부모들은 그러나 “평준화가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는데도 왜 약속을 안지키냐”며 올해 경기도 교육청에 타당성 조사 연구비를 모금해 전달하기도 했다. 학부모들의 거센 요구와 달리 경기도 교육청은 대선을 앞두고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평준화 문제를 섣불리 결정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경기도 교육청은 “올해 국감에서 한나라당 이주호 의원 등이 평준화 지역내에서 비선호 학교가 존재하고 평준화지역에서 학교의 질이 개선되기보다 하향 평준화를 가져왔다는 등 상반된 평가도 있는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지금은 기존 평준화 문제점을 보완한다는 방침이어서, 당장 이들 지역의 평준화 타당성 조사도 불투명하다. 경기도 교육청 황인철 부교육감은 “평준화 해제 여론도 만만치 않고 대선정국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쉽게 움직일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글·사진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경기교육청 “평준화 해제 여론도 만만치 않아…” 올해 중학교 1학년과 초등학교 3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이형두(42·회사원)씨는 아이들의 고교 진학을 생각하면 마음이 편치 않다. 얼마 전 아들이 다니는 학교의 명예 시험감독을 했던 그는 “고교 진학을 앞두고 내신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컨닝’이 심해 1·2학년을 섞어서 시험을 보더라”며 “중학교부터 경쟁에 내몰린 아이들의 얼굴에는 생기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씨가 사는 안산은 경기도에서도 대표적인 비평준화지역. 안산지역 19개 고교 중 3개 정도의 ‘명문고’에 진학하려고 매년 광명 시흥 안양지역에서 1천여명의 중학생들이 몰려오면서 같은 수 만큼 안산지역 중학생은 외지로 밀려나고 있다. 2시간 이상 걸리는 통학거리도 문제지만 공부를 못해 ‘기피 학교’로 갔다는 자괴감이 한창 예민한 청소년기의 학생들을 일찌감치 잘못된 길로 이끄는 것을 지켜봤던 이씨는 마침내 지난 24일부터 업무가 끝나면 고교평준화 실시를 요구하는 시민단체 농성에 참여하고 있다. 이씨와 같은 안산지역 학부모들의 모임인 ‘안산시민연대’가 안산시청 앞에서 ‘안산지역 고교평준화 즉각 실시’를 요구하는 천막 농성에 돌입한 지 31일로 8일째를 맞았다. 시민연대 김활신 위원장은 “안산은 학부모의 72.3%가 평준화에 찬성하고 고교 평준화를 실시할 충분한 여건인데도 경기도 교육청이 이를 미루는 것은 다수 학생을 중학교 때부터 입시지옥으로 내모는 행위”라며 평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기도에서는 이밖에 광명과 의정부지역 학부모들도 평준화 실시를 요구하고 있다. 김진춘 경기도 교육감은 2005년 이들 학부모들 진정에 대해 “한국교육개발원의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결과가 나온 뒤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학부모들은 그러나 “평준화가 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는데도 왜 약속을 안지키냐”며 올해 경기도 교육청에 타당성 조사 연구비를 모금해 전달하기도 했다. 학부모들의 거센 요구와 달리 경기도 교육청은 대선을 앞두고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평준화 문제를 섣불리 결정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경기도 교육청은 “올해 국감에서 한나라당 이주호 의원 등이 평준화 지역내에서 비선호 학교가 존재하고 평준화지역에서 학교의 질이 개선되기보다 하향 평준화를 가져왔다는 등 상반된 평가도 있는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지금은 기존 평준화 문제점을 보완한다는 방침이어서, 당장 이들 지역의 평준화 타당성 조사도 불투명하다. 경기도 교육청 황인철 부교육감은 “평준화 해제 여론도 만만치 않고 대선정국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쉽게 움직일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글·사진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