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5만명 무너질라 ‘술집 종업원에도 손짓’
5만190명 ‘급감’…지방교부세 감소·경기침체 우려
교직원 전입·농촌총각 결혼 추진…군차원 안간힘 유흥업소 종업원·군 장병·대학생 주소 이전, 불임 부부 시술비 지원,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노인수당 지급…. 인구 5만명 마지노선을 지키려고 골머리를 앓고 있는 충북 영동군이 내놓은 고육책이다. 영동군은 1965년 주민 수가 12만4075명에 이르렀으나 1980년 9만5081명으로 10만명 선이 깨지더니 2000년 5만8758명으로 6만명 선 마저 무너진 뒤 5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마저 해마다 500~1천명 안팎으로 빠져나가 2005년 5만2188명, 지난해 5만1226명으로 줄더니 올들어 9월말까지 1036명(2%)이 빠져나간 5만190명으로, 5만명 붕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 추세대로라면 이달 말이나 다음달 5만명 선이 무너지게 된다. 군이 5만명 사수에 열을 올리는 것은 ‘인구 5만명’이라는 상징성도 있지만, 5만명 선이 무너지면 12곳의 실·과 등이 10곳으로 줄고 지방 교부세 감소, 폐교 속출, 지역경제 침체 등의 악영향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위기에 몰린 군은 31일 군청에서 ‘인구 5만 지키기’대책회의를 열었다. 군 공무원은 물론 초·중·고 교장단, 향토 군부대, 사회단체, 이장단 등이 참여해 머리를 맞댔다. 술집·다방 등 지역 유흥업소·서비스업 종업원 등 140명의 주소를 옮기고, 지역 대학인 영동대 졸업생을 공무원으로 특채하고, 전원마을을 꾸며 은퇴자들을 지역으로 유도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해마다 농촌 총각 6명을 뽑아 장가를 보내고, 불임 부부 시술비(300만~510만원))·출산장려금(12만~180만원)지원 등 기존 대책을 내실화 하기로 했다. 복지시설 수용자·향토 군부대 장병·교직원 등의 주소 이전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군 곳곳에 주소이전·주민 등록 유도 펼침막을 거는 등 범 군민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영동대 학생들의 전입을 유도하려고 하숙비 등을 지원하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선거법 저촉 논란 끝에 접기도 했다. 정구복 군수는 “인구 5만명 지키기 대책을 군의 최우선 과제로 정했다”며 “가능한 범위 안에서 사업비·보조금 지원은 물론 각종 인센티브도 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교직원 전입·농촌총각 결혼 추진…군차원 안간힘 유흥업소 종업원·군 장병·대학생 주소 이전, 불임 부부 시술비 지원,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노인수당 지급…. 인구 5만명 마지노선을 지키려고 골머리를 앓고 있는 충북 영동군이 내놓은 고육책이다. 영동군은 1965년 주민 수가 12만4075명에 이르렀으나 1980년 9만5081명으로 10만명 선이 깨지더니 2000년 5만8758명으로 6만명 선 마저 무너진 뒤 5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마저 해마다 500~1천명 안팎으로 빠져나가 2005년 5만2188명, 지난해 5만1226명으로 줄더니 올들어 9월말까지 1036명(2%)이 빠져나간 5만190명으로, 5만명 붕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 추세대로라면 이달 말이나 다음달 5만명 선이 무너지게 된다. 군이 5만명 사수에 열을 올리는 것은 ‘인구 5만명’이라는 상징성도 있지만, 5만명 선이 무너지면 12곳의 실·과 등이 10곳으로 줄고 지방 교부세 감소, 폐교 속출, 지역경제 침체 등의 악영향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위기에 몰린 군은 31일 군청에서 ‘인구 5만 지키기’대책회의를 열었다. 군 공무원은 물론 초·중·고 교장단, 향토 군부대, 사회단체, 이장단 등이 참여해 머리를 맞댔다. 술집·다방 등 지역 유흥업소·서비스업 종업원 등 140명의 주소를 옮기고, 지역 대학인 영동대 졸업생을 공무원으로 특채하고, 전원마을을 꾸며 은퇴자들을 지역으로 유도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해마다 농촌 총각 6명을 뽑아 장가를 보내고, 불임 부부 시술비(300만~510만원))·출산장려금(12만~180만원)지원 등 기존 대책을 내실화 하기로 했다. 복지시설 수용자·향토 군부대 장병·교직원 등의 주소 이전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군 곳곳에 주소이전·주민 등록 유도 펼침막을 거는 등 범 군민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영동대 학생들의 전입을 유도하려고 하숙비 등을 지원하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선거법 저촉 논란 끝에 접기도 했다. 정구복 군수는 “인구 5만명 지키기 대책을 군의 최우선 과제로 정했다”며 “가능한 범위 안에서 사업비·보조금 지원은 물론 각종 인센티브도 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