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이틀째 교섭…“장기화땐 지역경제 악영향” 공감대
회사 쪽의 성실 교섭을 촉구하며 지난 1일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간 울산플랜트건설노조와 사용자인 전문건설업체들이 파업 장기화를 막기 위해 집중 교섭에 나서 협상 결과가 주목된다.
울산에서 일당을 받고 석유화학공장 건설·보수 등의 작업을 하는 비정규직 노동자 1000여명으로 꾸려진 울산플랜트건설노조와 대규모 석유화학공장(원청)에서 공사를 수주한 뒤 비정규 일용직 노동자를 고용하는 전문건설업체(하청) 30여곳은 전날에 이어 6일 오후 2시부터 울산 남구 삼산동 근로자복지회관에서 이틀째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을 했다.
노사는 이날 국가 공휴일 유급화와 주 40시간 근무, 최저 임금 보장 등에 대한 이견으로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전면파업이 장기화하면 지역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7일에도 집중 교섭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노조는 협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5일에 이어 6일에도 원청업체인 에스케이(SK)에너지와 동해펄프 등 설비 보수공사가 벌어지고 있는 대규모 사업장 앞에서 출근하는 비정규 일용직 노동자들을 상대로 파업 동참을 호소하는 선전전만 펼쳤을 뿐 일용직 노동자들의 출입을 막지는 않았다.
교섭에 응하고 있는 전문건설업체 30여곳 가운데 20여곳도 그동안 ‘개별 회사마다 사정이 달라 동일한 근로조건을 적용할 수 없다’며 거부했던 노조의 집단교섭 요청에 대해 이틀째 전향적으로 응하며 조기 타결 의지를 내비쳤다.
노조 최영철 기획국장은 “노조의 요구사항이 법정 공휴일 보장 등 법률에 정한 것이어서 합의가 가능하다고 본다”며 “7일까지 타결의 물꼬가 트이지 않으면 파업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전문건설업체 대표는 “건설업종의 특성으로 법적 요건을 모두 따르기가 어려운 면이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지역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고려해 조기 타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