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 피해 크고 도심 발전 막는다”
‘대선공약화’ 요구·결의안 채택 봇물
‘대선공약화’ 요구·결의안 채택 봇물
17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대구 공군기지를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오래전부터 학계와 언론, 지역주민들이 꾸준히 문제 제기를 해왔지만 이번처럼 대구 전역으로 이전 요구가 확산되기는 처음이다.
■ 공군기지 이전 요구 확산=대구시가 지난 9월 여야 대통령 후보들에게 정식으로 공군기지 이전을 선거공약에 포함시켜달라고 요구했다. 권태형 대구시 정책기획관은 “공군기지가 도심지에 버티고 있는 바람에 도시 발전에 적지 않은 걸림돌이 된다”며 이전이 시급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달 들어 대구시의회와 동구의회에서 이전 촉구 결의안이 나왔고, 26일에는 대구 북구의회가 결의안을 채택했다. 북구의회는 “공군기지 주변에 사는 주민들이 수십년 동안 군용항공기 소음으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건축물 고도 제한 등의 피해도 심각하다”고 말했다. 북구의회는 3년전부터 ‘항공기 소음 피해 대책반’을 꾸려 ‘전투기 소음 피해 특별법’ 입법 청원운동 등을 펼쳐왔다.
■ 소음피해 실태=대구공군기지에서 발생하는 평균소음도가 87(단위 웨클·WECPNL)로 전국 공항 12곳 가운데 가장 높다. 소음도 83∼92에서는 정신 집중력이 떨어지고 텔레비전과 라디오를 듣기가 힘든다. 소음 피해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대구 동구 주민 15만명과 북구 주민 11만명 등 26만명이 현재 법원에 피해 보상 소송을 내놨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서울중앙지법에서 승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전망=대구시는 공군기지 이전을 시민운동으로 펼쳐 나간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 대통령 선거가 끝나면 당선된 후보에게 선거공약을 실천하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김연수 대구시 기획관리실장은 “김영삼 대통령 당시 부산의 미군기지 이전을 결정한 적이 있다”며 “시민들이 뜻을 모으면 대구 공군기지 이전도 이른 시간 안에 실현 가능하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공군기지가 이전되면 이곳에 대단위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국방부와 대구공군기지 쪽은 아직 기지 이전과 관련해 어떤 태도도 보이지 않고 있다.
■ 대구공군기지의 역사=대구시 동구 검사동에 자리잡은 공군기지의 면적은 6.6㎢(200만평)이다. 일제시대인 1936년 생겼으며, 58년 이곳에 공군부대가 정식으로 창설됐다. 61년부터 민간항공기도 이·착륙하고 있으며, 대구 민간공항은 2002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됐다.
구대선 기자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