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교육’ 취지, 동사무소와도 차별화 안돼
시민단체 “예산 낭비…새 틀서 인력 운영 해야”
시민단체 “예산 낭비…새 틀서 인력 운영 해야”
복지 전문가 양성과 복지시설 지원, 주민 복지 서비스 강화 등을 위해 전국 광역 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생긴 충북종합복지센터가 기존 복지 시설·대학 평생교육원 등의 사업과 내용이 겹치거나 비슷해 큰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분석이 나놨다.
행동하는 복지연합이 10일 연 ‘충북종합사회복지센터 지난 1년과 그 앞길’ 토론회에서 김신열 전북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올해 종합복지센터의 27개 세부사업 가운데 16개 사업(59%)이 사회복지협의회 등이 했거나 하고 있는 사업과 겹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시·군 순회 교육, 정보화 실무교육, 복지 정보지 발간, 사회복지 조사 연구, 문헌 정보실 운영 등을 유사·기존 사업으로 꼽았다.
김 교수는 이어, “청주대·충북대·서원대 등 지역 대학 평생교육원과 청주시 근로자종합복지관 등의 복지 관련 강좌와 종합센터의 복지 프로그램도 겹친다”며 “1km 안에 종합복지센터, 청주 근로자복지관, 동사무소 등이 비슷한 강좌를 개설해 차별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종합복지센터가 개관 1돌을 맞아 이용자 28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센터의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 사회복지 지원기관(48.5%), 교육기관(20%), 사회복지시설(19%), 문화센터(10.5%), 공공기관(1.5%) 등으로 나타났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광역센터를 복지시설처럼 운영하는 것은 서비스 중복에 따른 복지 예산의 중복 투자”라며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다 다 놓치는 어정쩡한 상황이 될수 있다”고 지적했다.
행동하는 복지연합 양준석 국장은 “지난해 9월 70여억원을 들여 종합 복지센터 문을 열었지만 1년이 지난 지금 들인 예산만큼 효과를 내는 것에 대한 의문이 많다”며 “광역센터에 걸맞은 큰 틀의 복지 지원 서비스와 인력 운영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종합복지센터 김현진 부장은 “원칙적으로 복지관 등과 유사·중복되는 부분은 비껴가는 것이 맞고, 조금씩 바꿔 나가고 있다”며 “다만 지역 주민들의 교육·서비스 욕구가 있어 이에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