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상의 ‘100만인 서명’ 재경부 전달
“대구경북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주오.”
대구상공회의소와 구미·영천·경산상공회의소는 17일 대구·경북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촉구하는 100만인 서명부를 재정경제부에 전달했다.
지역상공회의소는 지난달 26일부터 지역주민과 기업체, 경제단체, 노동단체, 조합, 기관단체 회원 등 100만명의 서명을 받아냈다. 지역상공회의소는 “대구와 경북은 경제자유구역, 자유무역지역, 기업도시 등이 한 곳도 없어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며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이번에는 반드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달라”고 말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에 앞서 지난 10월 30일 수성의료지구와 대구 혁신도시지구를 포함해 대구 6곳, 경산 1곳, 영천 2곳, 구미 1곳 등 대구·경북 지역 10곳 34.742㎢(1053만평)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달라고 건의한 상태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기업이 5년 동안 소득세와 법인세, 지방세를 감면받을 수 있고 외국기업 토지임대료 감면, 외국 교육기관 및 의료기관 설립이 쉬워진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되면 생산 유발효과 99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58조원과 17만여명의 고용 유발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대구·경북을 비롯해 평택·당진, 군산(새만금), 목포·무안, 동해·삼척 등 5곳에서 경제자유구역을 신청해놓고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이달 하순쯤 이 가운데 2∼3곳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달 하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받으면 내년 6월까지 각종 허가 업무 등을 맡아볼 경제자유구역청을 설립한 뒤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경제자유구역에는 국비 5900억원과 지방비 1조원, 민자 2조4천억원 등을 더해 4조원 안팎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2003년 8월), 부산·진해(2003년 10월), 광양(2003년 10월) 등 3곳은 이미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있다.
구대선 기자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