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곳 2400여명 조사…전교조 “직선제 도입해야”
오는 7월의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울산시교육청 소속 6급 이상 직원 절반 이상이 교육감 선거권을 지닌 학교운영위원으로 진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겨레>와 전교조 울산지부가 지난달 말 선출된 197개교(특수학교 2곳 제외) 학교운영위원 2400여명의 명단을 조사했더니 시교육청의 6급 이상 직원 139명(파견자 제외) 가운데 52.5%인 73명이 학교운영위원에 선출된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직급별로는 4급 이상이 14명 가운데 11명(78.5%), 5급이 36명 가운데 18명(50.0%), 6급이 89명 가운데 44명(49.4%)이 각각 학교운영위원으로 진출해, 직급이 높을수록 운영위원 진출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교육감 직할 기획관리국의 총무과는 전체 직원 14명 가운데 13명이 운영위원에 출마해 11명(78.5%)이 뽑혔고, 기획예산과는 12명 가운데 7명(58.3%), 재무관리과는 6명 가운데 5명(83.3%)이 각각 운영위원에 뽑혔다.
학교운영위원 가운데 전체 903명을 뽑은 교원위원은 당연직인 학교장 197명(21.8%) 외에 교감 126명(13.9%)과 교무부장 등 부장교사가 378명(41.8%)이나 포함된 반면, 평교사는 202명(22.4%)에 그쳐, 전체의 77.6%(701명)가 간부교사로 채워졌다. 또 전체 197개교 가운데 72곳(36.5%)은 교원위원 가운데 평교사가 단 한 명도 없었으며, 전체 교감 211명 가운데 126명이 교원위원으로 뽑혀 교원위원 진출비율이 59.7%나 됐다.
전교조 울산지부 관계자는 “지역교육청과 각 학교 행정실 간부들까지 조사하면 학교운영위원으로 진출한 교육청 직원은 훨씬 많을 것”이라며 “관권선거 소지를 없애기 위해 교육감 선거제도를 직선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