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헌성 공무원노조 청원군지부장이 청원군이 다음달부터 시행하려는 현장 추진단 반대 1인 시위를 하고 있다.공무원노조 청원군지부 제공.
‘현장 추진단’ 충북서 처음…5급이하 6~10명 추려
3개월 뒤 재평가…노조 “기준 없이 일방적” 반발도
3개월 뒤 재평가…노조 “기준 없이 일방적” 반발도
무능·비리 공무원을 가려 허드렛일이나 힘든 일을 시키는 ‘현장 추진단’ 시행을 앞 둔 충북 청원군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현장 추진단은 지난해 무능 공무원 퇴출의 하나로 서울시가 추진한 ‘현장 시정 추진단’, 울산시가 한 ‘시정 지원단’과 유사한 것으로 충북지역에서는 청원군이 처음으로 시행한다. 군은 지난해 말 5급 이하 직원 직무 수행 평가와 근무 평정을 통해 직무 수행 능력·근무 성적이 떨어지는 직원, 직무태만·비리·품위 훼손 직원 등 100여명을 1차 대상자로 뽑아 지난달부터 재평가해 왔다. 군은 이달 안에 열릴 현장 추진단 선정 최종 심의위원회에서 직원 1%(6~10명)안팎으로 현장 추진단을 꾸려 다음달 1일부터 현장 업무에 투입할 계획이다. 현장 추진단으로 뽑힌 직원들은 3개월 동안 쓰레기 치우기 등 허드렛일이나 밀린 세금 거두기 등 힘든 일을 하게 된다. 3개월 뒤 다시 평가해 성적이 좋으면 소속 부서로 돌아가지만 나아지지 않으면 현장 근무 연장, 직위 해제 등의 인사 조처가 따른다. 신건식 군 행정담당은 “현장추진단제는 무능 공무원 퇴출제와 거리가 먼 행정·조직 혁신의 하나”라며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준과 방법으로 대상자를 뽑아 효율적인 현장 근무를 추진하되, 신분은 안팎으로 노출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공무원노조 청원군지부 지헌성 지부장이 지난 15일부터 군청 앞에서 현장 추진단 반대 1인 시위를 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지 지부장은 “기준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단을 뽑아 현장 근무를 시키는 것은 인권침해이자 군의 월권”이라며 “직원들에게 군수의 눈치를 보게 하고 줄을 세울 게 아니라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재봉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철밥통이라 불린 공무원 사회 개혁의 하나로 현장 추진단 시행이 필요하다”며 “허드렛일을 시켜 창피를 주거나 인격을 모독하기보다 실제 근무 성과를 낼 수 있는 현장 부서에 배치해 제대로 평가를 하는 조처가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