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시민들 “시립으로 추진할 것”
자치단체장에 대한 사상 첫 주민소환 투표로 주목을 끌었던 경기도 하남시의 광역화장장 문제가 ‘관권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경기도가 총선을 코앞에 두고 화장장 건립 포기를 선언했고, 한나라당은 자신들이 끌어낸 ‘성과’라고 선거에 이용하고 있다.
김기영 경기도 대변인은 7일 “새 장사법이 5월26일 시행돼 시·군별로 화장장 설치가 의무화됨에 따라 하남시가 추진중이던 광역화장장 건립은 포기했다”고 밝혔다. 앞서 박희태 한나라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지난 4일 하남시 지원 유세에서 “김문수 경기지사에게 직접 들었다”며 경기도 광역화장장 건립 포기 방침을 먼저 밝혔다.
문제는 경기도가 지난해 2월 이미 새 장사법이 통과돼 광역화장장의 필요성이 없어졌는데도, 이제껏 아무런 말도 없다가 한나라당에 먼저 이를 흘리고 사흘 만에 이를 공식 의견으로 밝혔다는 점이다. 경기도는 ‘애물단지’가 된 광역화장장 문제를 선거 과정에서 떨어버리고, 한나라당은 자신들의 힘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 것처럼 선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광역화장장 유치에 적극 나섰다가 1년6개월 동안 엄청난 내부적 ‘홍역’을 치러온 하남시만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처지가 돼 버렸다. 하남시의 광역화장장 유치 찬성쪽 주민들은 “5천억원의 인센티브를 떠벌이던 경기도가 하루 아침에 말을 바꿨다”며 “하남시 화장장은 광역(경기도) 차원이 아닌 시립 형태로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경기도 김기영 대변인은 “앞으로 10만명당 2~3기의 화장로를 갖추도록 시·군별로 지침을 내리고, 시·군이 공동으로 화장장을 설치하면 위치와 규모를 검토해 행정·재정적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주민들의 소환투표까지 거친 김황식(57·한나라당) 하남시장은 “총선이 다가오니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업까지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선거가 끝난 뒤 진위가 밝혀지고, 하남의 화장장은 변함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