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청소년센터 등 직원 30여명 비정규직 전환 거부
시, 기관 3곳 합쳐 예산 줄이기…“시대 추세 맞춘 것”
시, 기관 3곳 합쳐 예산 줄이기…“시대 추세 맞춘 것”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신분이 바뀌고, 월급도 평균 30%쯤 줄어들었습니다.”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진혜전(49)사무국장은 지금까지는 57살까지 정년이 보장됐지만, 앞으로는 3년 계약직으로 신분이 바뀌고 3400만원의 연봉이 2900만원으로 삭감된다는 통보를 대구시에서 전해 듣고 “이럴 수가 있느냐”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진 국장뿐만 아니라 상담지원센터 동료 11명과 청소년활동진흥센터, 청소년 쉼터 등 3곳의 동료 직원 20여명이 비슷한 형편에 놓였다. 이들 상담기관 3곳은 국비와 시비 등 연간 15억여원을 지원받아 가출 청소년과 학부모들을 상담하고 갈 곳 없는 청소년들을 잠시 머무르도록 하는 역할을 해왔다. 청소년상담지원센터에서만 지난해 가출청소년 등 5만여명을 상담했으며, 갈 곳 없는 청소년 1700여명을 일시 보호한 뒤 집으로 돌려보냈다.
대구시는 이들 기관 3곳의 역할이 비슷해 기능을 합쳐 예산을 줄여야 한다는 취지에서 지난달 13일 재단법인을 설립했다. 이 과정에서 재단법인은 직원들의 신분을 3년 계약직으로 바꾸고 임금을 삭감하는 채용계약서를 작성하도록 요구했다. 하지만 직원들은 “대구시가 느닷없이 비정규직으로 전환하도록 강요하고 월급을 깍겠다고 나서는 이유를 알 수 없다”고 한목소리를 내며 새 채용계약서 작성을 10여일째 거부하고 있다. 직원들은 “경북과 경남, 충북 등에서도 청소년지원센터를 묶어 재단법인을 설립했지만 비정규직 전환은 없었다”고 하소연했다.
최옥자 대구시 여성청소년가족과장은 “재단법인에서 시대적인 추세에 맞춰 직원들을 연봉 계약직으로 전환했으며, 임금은 재단이 출범하면 복지비와 수당 등을 포함해 현재의 80∼90% 수준까지 오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