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 “지난 정부와 크게 달라질 것 없다”
전임 노무현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 정책에 정면으로 맞서온 이명박 대통령이 지역균형 발전 정책의 한 축인 기업도시 기공식에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1일 오후 충북 충주시 이류면에서 열린 충주 기업도시 기공식에 참석했다. 지난해 10월 태안에 이어 두번째 기업도시 기공식이었던 이날 행사에는 이 대통령을 포함해 2천여명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기업도시는 민간기업과 자치단체가 친환경적이고 정주 여건을 갖춘 새 도시를 만드는 것”이라며 “우리 사회의 신성장 동력 역할을 해 국가 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주 기업도시는 충주시와 포스코건설 등 8곳의 기업과 기관이 2011년까지 5544억원을 들여 충주시 주덕읍·가금면·이류면 등 701만여㎡에 첨단 전자·정보·부품·소재 산업 단지와 새 도시를 만드는 사업이다.
이날 이 대통령의 기업도시 참여는 상당히 이례적이다. 기업도시는 행정도시, 혁신도시와 함께 노무현 정부의 지역균형 발전 정책의 세 축 가운데 하나로, 이명박 정부는 지난 4월 이후 혁신도시 사업을 사실상 중단했으며, 행정도시도 축소·변질될 것이라는 우려가 많은 상황이다.
이 대통령이 다른 균형발전 사업과 달리 기업도시에 우호적인 이유는 기업도시가 그의 철학과 가장 가깝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서울시장이나 대통령 후보 시절에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행정기관이 아니라, 기업이 내려가야 한다”는 주장을 펴왔다. 기업도시 민간위원회 김지학 위원(충주대 토목공학)은 “민간 기업이 중심이 된 기업도시는 새 정부의 민간 경쟁력 강화 정책과 맞는다”며 “이명박 정부가 지역 균형발전 방안으로 공공기관을 옮기는 혁신도시보다 기업도시에 더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기업도시는 2005년 7월 참여정부가 지역균형 발전 정책의 하나로 충주, 원주(지식기반형), 무안(산업교역형), 태안, 무주, 영암·해남(관광레저형) 등 전국 6곳에서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국토해양부 기업복합도시과 표명덕 사무관은 “기업도시 정책은 지난 정부와 크게 달라진 것이 없이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다”며 “지역·기업·상황 등에 따라 속도차는 있겠지만 차질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