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혈세가 결국 대교에”…대교쪽 “전 법인때 일”
국내 대형 사교육업체인 대교가 특목고인 명지외고 운영에 참여한 것에 대해 시민단체들이 “그동안 명지외고에 지원된 58억원의 시민 혈세가 결국 사교육 업체에 돌아가게 됐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17일 경기 의왕시와 경기도 교육청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달 16일 학교 법인이 명지교육학원에서 대교그룹의 봉암학원으로 바뀐 명지외고에 개교 뒤 지원된 교육비 보조금은 58억원이었다. 의왕시는 “2004년 학교 제2기숙사 건립에 57억원, 그리고 시와 도 교육청이 50%씩 내는 사업으로 올해 인조잔디 운동장 조성에 3500만원, 지난해 멀티미디어 교체사업에 5000만원 등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렇게 의왕시가 명지외고에 거액을 지원한 대가로 의왕 지역 학생들은 전체 정원 320명의 5%인 16명을 정원외 입학시키고 있다. 이는 의왕지역 6개 중학교 졸업생 1500명의 1% 수준이다.
‘의왕 시민모임’ 조창현(48) 대표는 “교육도시 이미지를 위해 시가 명지외고에 우월적 지원을 해왔다”며 “그러나 대형 사교육업체가 학교를 사실상 인수하면서 시민혈세가 결국 사교육업체 배불리기에 쓰인 셈이 됐다”고 말했다. 김강수 전교조 군포·의왕지회장도 “이명박 정부 등장 이후 학교가 대형 사교육업체의 먹잇감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말했다.
대교 관계자는 그러나 “명지외고에 대한 교육경비 보조금 지원은 전 법인 때 이뤄진 것”이라며 “대교가 이 사실을 알고 학교 운영에 들어간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