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단체가 한달째 원형 보존을 주장하며 천막농성 중인 광주시 옛 전남도청 건물. 이수현 인턴기자
오월단체 “철거 말라” 한달째 농성…문화전당 건립 차질
문광부 “이제 와 무리한 주장”…면담·공개토론회 열기로
문광부 “이제 와 무리한 주장”…면담·공개토론회 열기로
옛 전남도청 별관의 보존을 주장하는 5월단체의 천막농성이 한달을 맞으면서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건립사업의 일정 차질이 우려된다.
전남도청 보존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달 24일부터 한달째 옛 전남도청 앞에서 천막농성을 펼치며 5·18 사적지의 원형 보전을 촉구하고 있다. 이 단체는 지난 19일 5·18유족회, 5·18구속부상자회, 5·18부상자회, 5·18기념재단 등 5월단체 네 곳이 참여한 출범식을 열어 문화전당 건립 공사 때 옛 전남도청의 별관을 철거하지 말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이 단체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이를 받아들일 때까지 무기한으로 천막농성을 벌이겠다는 태도다. 안성옥(46) 대책위 협력국장은 “기공식 직전인 지난달 9일 옛 전남도청 별관이 도의회 건물이 아니라 본관에 붙은 건물임을 알았다”며 “재설계 비용만 50억원이 들고 공사 진행에 차질이 발생하는 것을 알지만 역사를 보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문화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은 갑작스런 별관 보존 주장이 문화전당 건립에 발목을 잡는 무리한 주장이라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추진단은 별관을 그대로 두면 △개방과 소통을 지향한 문화전당 설계의 개념에 맞지 않고 △설계와 착공이 이미 이뤄져 시기적으로 늦은데다 △2012년 준공이라는 일정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태도다. 별관 터에 주통로가 만들어져 이를 철거하지 않으면 동선에 장애물이 생겨 설계와 시공이 원점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어 재추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는 논리다.
추진단 쪽은 또 “2006년 설계공모 당선 때부터 20여 차례 설명회 공청회 등을 통해 별관 철거 사실을 알려왔는데 기공 무렵에 보존 주장이 불쑥 튀어나왔다”며 “대책위와 면담과 토론을 해 문제를 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4~25일 대책위 회장단과 이병훈 추진단장의 면담이 이뤄지고, 광주문화방송에서 공개 토론회도 열릴 전망이다.
문화전당은 2012년까지 7984억원을 들여 광주시 동구 옛 전남도청 일대 터 12만8621㎡에 연면적 17만8199㎡ 규모로 건립된다. 이 건물을 지으면서 옛 전남도청의 본관과 회의실, 전남경찰청의 본관과 별관, 상무관 등 5·18 관련 건물 5동은 그대로 보존한다는 결정이 났지만, 최근 지상 4층 연면적 3761㎡인 전남도청 별관의 보존이 새로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안관옥 기자, 이수현 인턴기자 okahn@hani.co.kr
안관옥 기자, 이수현 인턴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