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매립장 84%까지 차
추가건립에 주민 반발
추가건립에 주민 반발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의 쓰레기 처리가 고질병으로 도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청주시 강서구 휴암동 쓰레기 매립장 주변 7곳 마을 주민들은 시의 쓰레기 매립장 지원금 배분에 반발해 지난달 28~30일 트랙터 등으로 매립장 입구를 봉쇄해 쓰레기 반입을 막았다가 31일 풀었다.
주민들은 시가 7곳에 지원하던 쓰레기매립장 지원 기금 15억원을 11곳으로 나눠주려는 데 반발해 매립장을 막았지만, 늘어나는 쓰레기부터 처리하자는 시의 설득에 따라 농성을 풀었다. 그러나 그 뒤 수차례 협상에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협상이 타결돼도 청주·청원권 쓰레기 처리 문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인구 79만여명인 청주·청원은 2001년 1월부터 청원 강내면 학천 매립장 한 곳을 함께 쓰고 있다. 내년 9월께면 매립장이 가득 찬다. 시는 내년 3월께부터 휴암동 광역 소각장을 가동할 계획이지만 이마저도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 소각장은 하루 200t 정도를 처리할 수 있지만 청주·청원의 쓰레기 발생량은 해마다 늘어 250~300t에 이르기 때문이다. 청주와 청원은 새 매립장을 만들거나, 기존 매립장을 확대해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주민 반대 등으로 입지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400억원을 들여 제2매립장 건립에 나섰지만 주민 설명회 과정에서 무산됐다.
시 자원안정화사업소 오진태 계장은 “지금 매립장은 84%까지 차 새 매립장을 찾아야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청주·청원 등이 대승적 차원에서 문제를 풀어야 쓰레기 대란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