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88% 보상…이전 차질땐 지역갈등 유발”
도·의회·정치권 비상대책회의…통합논의 중단 촉구
도·의회·정치권 비상대책회의…통합논의 중단 촉구
주택공사와 토지공사의 통폐합 발표를 앞두고 전북도가 대응책 마련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전북도는 오는 11일께 주공과 토공의 통합방안 발표가 예상되고 있으며, 통합을 반대하는 견해이지만 만약 통합을 하게 된다면 낙후지역인 전북으로 본사가 와야 할 것이라고 6일 밝혔다.
전북도는 토공이 주공으로 흡수 통합되면 토공 이전이 예정된 전북혁신도시 건설사업에 큰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통폐합 기관의 전북 유치를 위해 전북지역 정치권 및 유관기관, 단체 등과 함께 공동 대응할 방침이다.
도는 이날 오전 도의회 의장단과의 긴급 간담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한 뒤 성명서를 발표했다.
도의회는 “행정절차를 마친 전북혁신도시는 88% 보상이 이뤄져 지난 3월 제1공구 지역을 착공해 문화재 지표조사 등이 진행 중”이라며 “토공이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하지 못하면 전북의 희망을 짓밟는 행위로, 정부는 영·호남 지역 갈등을 부추기는 토지공사 통합 논의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도는 이날 오후 서울 렉싱턴호텔에서 김완주 지사와 민주당 강봉균 전북도당위원장, 전북지역 출신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대책회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현재 정부의 통폐합 움직임을 보고받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청와대, 국토해양부, 기획재정부를 상대로 막바지 설득에 주력하기로 했다.
도는 또 범도민 비상대책위를 구성하고 정부의 통폐합 발표에 따라 구체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어서 통폐합 결과에 따라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전북 전주시 만성동과 완주군 이서면 일대 930만여㎡에 조성될 전북혁신도시에는 2012년까지 주도 기관인 토지공사를 비롯해 공공기관 14개 기관이 입주하게 된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정규직 직원이 주공은 4200여명, 토공은 2700여명이다. 자산도 주공 51조, 토공 33조원으로 주공의 규모가 더 크다. 한편, 토지공사 노동조합은 통합과 관련한 성명에서 “공기업을 적대시해 국민정서와 분리시키고, 재벌의 손에 갖다 바치려는 일부 관료의 통합 논의는 공기업을 파국으로 몰고 있다”며 “강제 통합에 적극적인 주공의 의도는 경영 실패 책임을 덮으려는 도덕적 해이”라고 주공 쪽을 비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2007년 말 기준으로 정규직 직원이 주공은 4200여명, 토공은 2700여명이다. 자산도 주공 51조, 토공 33조원으로 주공의 규모가 더 크다. 한편, 토지공사 노동조합은 통합과 관련한 성명에서 “공기업을 적대시해 국민정서와 분리시키고, 재벌의 손에 갖다 바치려는 일부 관료의 통합 논의는 공기업을 파국으로 몰고 있다”며 “강제 통합에 적극적인 주공의 의도는 경영 실패 책임을 덮으려는 도덕적 해이”라고 주공 쪽을 비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