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매립·재활용 구분 안되고 뒤섞여
음식쓰레기 11% 차지…다이옥신 우려
음식쓰레기 11% 차지…다이옥신 우려
전북 전주시가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을 섞어서 버리는 행위를 없애려고 ‘불법 쓰레기와의 전쟁’을 선언한 지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30일 전주시청 회의실에서 ‘불법 쓰레기와의 전쟁 이후 1년, 전주시 쓰레기정책 진단평가 토론회’를 열어 이런 문제점을 논의했다.
전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4월과 6월 두차례 6명으로 조사단을 꾸려 공동주택보다 분리수거가 잘 지켜지지 않는 단독주택의 쓰레기 874㎏을 분석했다.
최두현 이 단체 녹색도시국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전주시 쓰레기정책이 매립에서 소각으로 바뀌었는데도 시민이 이를 잘 몰라, 가연성 쓰레기와 불연성 쓰레기를 과거처럼 섞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종량제봉투에 들어있는 쓰레기 가운데 필름류 포장재(과자·라면 봉지 및 일회용 비닐봉투 등)가 25.6㎏(2.9%)이 나왔는데, 이는 무게가 가벼운 필름류 포장재 특성을 고려하면 매우 놀라운 양”이라며 “필름류 포장재가 제대로 분리수거된다면 쓰레기 배출량이 3분의 1 이상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전체 쓰레기 중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11.1%(97.3㎏)를 차지했다”며 “음식물류 소각은 인체에 해로운 다이옥신 배출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신발·가죽 등 매립용 쓰레기는 소각을 하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나오고 소각로의 고장을 야기할 우려가 높은데도 6.8%(59.3㎏)를 차지했다”며 “이는 지난해 11월 쓰레기와 전쟁을 선포한 전주시가 매립용 쓰레기봉투를 올 7월에야 판매했고, 가정에서도 활용이 극히 저조해 행정·가정 모두 준비가 안 됐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전주시는 “토론회 결과를 참고로 쓰레기 분리배출을 정착시키는 데 노력할 것”이라며 “시민들도 불편하더라도 분리배출을 제대로 하는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주시는 올 상반기 분리수거 정착을 위해 단독주택 지역에 재활용품 분리배출함 1338개를 설치했다. .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