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훈 교수 문화재위원 위촉
경기도가 도 문화재 위원에 이영훈(58)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를 위촉하자 일부 문화재 위원이 선임 과정의 문제점을 들어 사퇴하는 등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이 교수는 뉴라이트 계열의 대표적 학자 중 한 명으로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고 우익 시각을 반영한 역사 교과서 개정을 요구하는 학자다.
13일 경기도와 문화재 전문가들의 말의 종합하면, 지난달 말 경기도는 도 문화재위원회 제3분과 위원 11명을 새로 위촉하면서 이 교수를 포함시켰다. 경기도 문화재 위원회 제3분과는 기념물과 사적 등의 문화재 인근 개발 여부와 문화재의 현상변경 여부 등을 심의하는 곳이며, 전체 위원 수는 13명이다.
최근 경기도는 기존 3분과 위원들이 심의 과정에서 전원 일치로 허가 여부를 엄격하게 결정하는 데 대해 이의를 제기했으며, 이에 반발한 문화재 위원 11명이 집단적으로 사의를 표명하자 새로 11명의 위원을 위촉했다. 이들의 임기는 기존 위원의 임기인 내년 5월 말까지다.
그러나 이번 위촉 과정에서 경제학 전공인 이 교수뿐 아니라, 문화재 관련 업계 관계자까지 위원에 위촉된 사실이 알려지자, 위원에 위촉된 김정완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장은 위촉을 거부하기도 했다.
경기도의 한 문화재 위원은 “문화재위가 문화재 보존에 중점을 둬야 하는데 이 교수 등은 사유재산권의 보호를 강조할 가능성이 커 우려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경기도는 “3분과 문화재 위원들의 집단 사의로 미뤄진 40여건의 개발과 현상변경에 대해 새 문화재 위원들이 한 차례 심의한 결과, 허가율이 20%에서 90%로 크게 높아졌다”고 밝혔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위촉은 경기문화재단 등의 추천을 받은 것이며 이 교수는 한국고문서학회장을 지내는 등 경제 사학자로서 자격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황평우 문화연대 문화유산위원장은 “문화재와 관련이 없는 경제학자는 물론 발굴업자, 경기도 산하기관 간부들로 채워진 경기도의 새 문화재 위원회는 문화재 보호가 아니라, 개발업자 보호를 위한 활동을 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수원/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