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35곳 중 21곳에 인터폰만…“순찰인력 늘리려” 해명
광주지역 치안센터 10곳 중 6곳은 근무 경찰이 배치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 최인기 의원(민주당)은 21일 광주경찰청 국감에서 “광주지역 치안센터 35곳 중 60%인 21곳이 상근 경찰관이 1명도 배치되지 않아 텅 빈 건물에 간판만 붙이고 있다”며 “다급하게 치안센터를 찾았던 시민들이 느꼈을 불안감과 허탈감을 해소할 대책을 찾으라”고 촉구했다.
최 의원은 “예산·인력의 부족을 따지기 앞서 최소 인력이라도 배치해 범죄를 예방하고 민생을 도모해야 한다”며 “치안센터를 ‘유령의 집’처럼 방치해 미관을 해치려면 차라리 폐쇄하라”고 덧붙였다.
방치된 치안센터는 북부에 8곳, 동부에 7곳, 남부에 4곳, 서부에 2곳 등 도심지에 집중되어 있다. 권역별로는 △북부의 우산, 운암2, 동림, 신안, 북성, 풍향, 두암1, 오치 △동부의 대인, 충장, 황금, 학서, 지원, 계림, 지산 △ 남부의 백운1, 월산, 월산4, 주월 △서부의 화정2, 운천 등지다.
이 때문에 범죄에 직면하거나 도움이 필요한 시민들이 서둘러 치안센터를 찾았다가 인터폰으로 연락하라는 안내문을 읽고는 인근 지구대로 발길을 돌리느라 시간과 비용을 허비하기 일쑤다.
광주경찰청 쪽은 “순찰 인력을 늘리려고 단순 사무가 많은 고정인력을 철수시켰다”며 “인터폰으로 인근 지구대에 연락할 수 있는 만큼 민원상담을 중단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한편, 경찰은 2003년 파출소 2~3곳을 지구대로 통합하고, 파출소는 치안센터로 변경했다. 치안센터에는 애초 대민봉사를 맡을 치안 담당관 1명을 두기로 했으나, 실제로는 인력 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