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지역 자치단체들이 공무원 중심의 의사 결정 문제를 보완하려는 각종 위원회가 공무원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데다 회의를 열지 않는 ‘유령위원회’도 수두룩한 것으로 드러났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가 19일 밝힌 충북 자치단체 위원회 구성현황 및 운영 실태조사를 보면 지난해 위원회 881곳 가운데 회의를 한 번도 열지 않은 곳이 179곳(20%)이었다.
청주시는 청소년 육성위원회, 노사정협의회, 자활기관 협의회 등 17곳을 가동하지 않았고, 충북도는 주민투표청구심의위원회 등 22곳을 열지 않았다. 옥천 22곳, 증평 18곳, 음성 17곳, 괴산 14곳, 충주 13곳, 보은·청원·제천 각 10곳, 단양 8곳 등도 개점휴업 상태였다.
민간위원 참여도 저조해 301곳(34.2%)은 민간위원 참여율이 절반에 못 미쳤으며, 70%를 넘는 곳은 348곳(39.5%)이었다.
옥천군의 한 여성위원은 위원회 12곳에 이름을 올리는 등 민간위원 1096명(14.8%)이 2곳 이상의 위원회에 참여하는 등 중복현상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장은 부단체장 485곳(55%), 단체장 178곳(20%), 공무원 94곳(10.7%) 등 747곳(85%)을 공무원이 장악하고 있으며, 영동·진천·단양은 90%를 넘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신성철 간사는 “공정성·객관성 있는 위원회 구성과 민간위원 확대, 의결 중심 위원회 활동 정례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