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이전 지연속 이주민 생계대책 올해 끝나
미군기지 이전 예정 지역인 경기 평택시 팽성읍 대추리·도두리에서 쫓겨난 이주민들이 생계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주민 40여명은 지난 24일부터 평택시청으로 몰려가 시장 면담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주민 40여명은 “미군기지 이전 시기가 미뤄질 예정인데, 이주민 생계 대책은 예정 대로 올해로 끝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농사를 지을 수 없어 공공근로 급여 80여만원으로 생활해 왔는데 이마저 끊기면 살 길이 막막해진다”고 주장했다. 또 “기지 이전은 늦어지는데, 왜 일찍부터 쫓아냈느냐”며 “차라지 예전 땅에서 더 농사지을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런 반발은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지원특별법’에 의해 18~75살 이주민들에게 지난 해부터 제공해 온 특별 공공근로 사업이 오는 28일로 끝나는 데 따른 것이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대상자가 65~75살, 재산세 3만원 이하 가구로 제한돼 현재 공공근로 참여자 165명 가운데 58명만 계속 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예산 문제로 아직 시행이 불투명하다.
이주민 대표 김지태(49) 씨는 최근 송명호 평택시장을 만나 “생계 대책을 마련해줄 수 없다면 예전 땅에서 농사라도 계속 짓게 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추리·도두리 이주민들은 “이주 당시 국방부와 평택시가 약속했던 취업 알선, 첨단 영농단지 조성과 같은 생계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군기지 이전 예정 부지인 평택시 팽성읍 대추리·도두리 주민 230여가구는 기지 이전 계획이 확정된 2005년부터 지난 해 3월까지 강제수용을 통해 부지 밖으로 쫓겨났으며, 90여가구는 팽성읍 송화리 포유빌과 우미 아파트 등 임대주택 2곳에서 모여 살고 있다. 나머지 100여가구는 평택시내와 충청도 등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