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까지 울주 신일반산단에 생산시설등 조성
유치업종 차별화등 숙제…마산지역도 면적확대
유치업종 차별화등 숙제…마산지역도 면적확대
울산시가 8년 만에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돼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또 국내 첫 외국인전용공단이자 국내 최대 해외투자업체 밀집지역인 마산자유무역지역도 새롭게 탈바꿈한다.
울산시는 8일 울산새항만 배후부지로 2012년까지 4360억원을 들여 250만㎡ 규모로 조성할 예정인 울주군 온산읍 처용리와 청량면 용암리 신일반산업단지 안 약 130만㎡(그림)를 지식경제부가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해 고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2012년까지 국비 1825억원과 시비 782억원 등 2607억원을 들여 전체 터 약 130만㎡를 생산시설(44.6%), 공공시설(42.1%), 물류시설(9.1%), 지원시설(4.2%) 등 5개 지구로 나눠 조성한다.
생산시설 터에는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지역 주력업종과 연계된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업종과 메카트로닉스, 생명공학, 조립금속, 전기·전자, 신소재와 관련한 업종, 매출액의 50% 이상을 수출하는 기업이 들어선다.
시는 자유무역지역 지정으로 단순 제조업 중심인 지역 산업구조를 부가가치가 높은 구조로 바꾸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또 지식경제부가 울산자유무역지역이 완공되면 조성 원가에 땅을 사들여 입주기업한테 낮은 가격에 임대할 예정이어서 시 재정 부담을 덜게 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울산에서 차로 1~2시간 거리인 부산과 마산의 자유무역지역을 확대하고 비슷한 거리의 포항을 새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한데다 전략적 유치업종이 일부 겹쳐 자칫 분양에 실패하면 네 곳이 함께 ‘유령공단’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우려된다.
지식경제부는 이날 내년부터 2014년까지 6년 동안 1356억원을 투입하는 ‘마산자유무역지역 확대사업’도 최종 확정·고시했다. 이에 따라 낡은 표준공장 4개동이 철거되고, 각각 6층 규모의 첨단공장(총연면적 8만2500㎡)이 새로 들어서게 된다. 무역지역 안 삼호천변 길이 800m 도로는 너비 12m로 확장되고, 연면적 4104㎡의 주차타워도 건설된다.
사업이 끝나면 입주업체는 94곳에서 130곳, 연간 수출액은 50억달러에서 100억달러, 고용 인원은 7천명에서 2만명으로 늘어나 마산자유무역지역이 제2의 도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경남도는 기대하고 있다.
마산자유무역지역은 1970년 1월 국내 첫 외국인전용공단인 ‘마산수출자유지역’으로 출발해, 2000년 7월 ‘마산자유무역지역’으로 확대 개편됐다. 전체 면적 95만3576㎡에 일본 소니그룹의 한국소니전자, 산요그룹의 한국동경시리콘, 핀란드 노키아사의 노키아티엠씨 등이 입주해 총생산의 98%를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경남 지역 전체 수출의 9%, 마산시 제조업 고용인원의 40%를 차지했으며, 올들어 지난 10월말 현재 45억달러를 수출해 17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경남도 국제통상과 담당자는 “이번 사업은 노후화로 성장의 한계에 이른 마산자유무역지역을 현대화하고 재정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수 최상원 기자 kskim@hani.co.kr
마산자유무역지역은 1970년 1월 국내 첫 외국인전용공단인 ‘마산수출자유지역’으로 출발해, 2000년 7월 ‘마산자유무역지역’으로 확대 개편됐다. 전체 면적 95만3576㎡에 일본 소니그룹의 한국소니전자, 산요그룹의 한국동경시리콘, 핀란드 노키아사의 노키아티엠씨 등이 입주해 총생산의 98%를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경남 지역 전체 수출의 9%, 마산시 제조업 고용인원의 40%를 차지했으며, 올들어 지난 10월말 현재 45억달러를 수출해 17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경남도 국제통상과 담당자는 “이번 사업은 노후화로 성장의 한계에 이른 마산자유무역지역을 현대화하고 재정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수 최상원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