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업무추진비 10%인상…“다른곳보다 적어”
퇴직예정자 해외연수비 책정 등 예산낭비 곳곳에
퇴직예정자 해외연수비 책정 등 예산낭비 곳곳에
경제위기 속에 대구시가 내년도 간부직원들의 업무추진비를 10% 올렸다.
9일 대구시가 대구시의회에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을 보면, 간부직원들의 시책업무추진비를 14억7300만원으로 책정했다. 이는 올해 당초예산인 13억4220만원에 견줘 보면 9.75%나 오른 것이다. 시책업무추진비는 간부직원들의 활동비로 전체 액수 가운데 시장 20∼30%, 부시장 2명이 20% 정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단체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행정기관의 시책업무추진비의 쓰임새를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이 간부직원들의 밥값으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시민단체 관계자 등은 “장기간 지역경제 침체에다 미국의 금융위기 여파까지 겹쳐 최악의 경제위기를 맞아 서민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때에 간부공무원들이 고통 분담을 외면하고 업무추진비를 올리려는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며 “업무추진비를 동결하든지, 시민들의 어려움을 감안해 오히려 줄여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대구시의 업무추진비가 서울과 부산, 대전에 비해 적게 책정돼 중앙부처를 찾아가 국비예산을 따내려면 여간 어려움이 따르지 않는다”며 업무추진비 인상 이유를 밝혔다.
업무추진비 외에도 내년 예산안 곳곳에 낭비성과 선심성 예산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시는 김범일 시장이 임기중에는 현재 중구 동인동에 자리잡은 대구시청 청사를 다른 곳으로 옮기지 않겠다고 여러 차례 약속해놓고 내년도 예산에서 시청 이전 용역비로 8500만원을 짜놨다. 2006년에도 용역비 5천만원을 들여 시청 이전 타당성 조사를 한 적이 있어 중복예산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또 대구시청 직원들이 부서별로 교외로 나가 1박2일 동안 워크샵을 하는 비용 5600만원, 제야의 행사비 9500만원, 상수도물 홍보비 1억7천여만원, 상수도공무원 외국 배낭여행비용 1억1900만원, 퇴직 예정자 외국연수비 1천만원, 기업인 부부의 날 지원비 2900만원 등이 시의회 심의과정에서 대표적인 낭비성 예산으로 꼽혔다. 도시철도본부는 내년 6월 대구도시철도 3호선 착공식 비용으로 5억원을 편성해 호화판 행사를 벌이려 하느냐는 시의원들의 질책이 이어졌다.
대구시가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한 이 예산안은 현재 상임위원회를 통과했으며 11일까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지용성 의원)의 심사를 거쳐 12일 시의회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된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