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에 ‘성냥갑 아파트’가 사라지고 녹지공간이나 공원 등 공공용지를 갖춘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선다. 서울 압구정 지구의 개발예정 모습. 서울시 제공
서울시, 부지 25% 기부땐 여의도 등 재건축 층수 무제한 허용
성수·반포 등은 최고 50층
‘성냥갑 아파트’가 병풍 처럼 획일적으로 늘어선 서울 한강변에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건물의 높이를 대폭 높여주는 대신 부지의 25% 이상을 기부채납 받아 공원 등의 공공시설로 활용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9일 한강 선유도공원에서 한강변에 위치한 재건축단지가 공공용지나 기반시설로 전체 터의 25% 이상을 제공할 경우 건물 높이를 완화해 주는 내용의 ‘한강 공공성 회복선언’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여의도와 압구정, 잠실 지역에서는 최고층수를 제한받지 않는 초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됐다. 성수와 이촌, 반포, 구의, 자양, 당산 등에서는 최고 50층, 평균 30층 안팎의 고층 건물 신축이 가능해진다. 널판지 처럼 길다랗게 늘어선 판상형 아파트가 사라지고 대신 좁고 높은 탑상형으로 바뀌는 한편 녹지 공간과 바람길을 확보하고, 문화체육시설, 도서관, 전시관 등을 배치해 공적 용도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김효수 서울시 주택국장은 “시는 주거 중심으로 일부 아파트 주민들에게 사유화된 한강변을 주거·숙박·상업·업무 지역 등 복합용도로 다원화하고, 건물 높이를 통합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또 한강변의 각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생태첨단산업(마곡~상암), 문화예술(당산~선유도~망원·합정~홍대문화지구), 국제금융업무(여의도~용산), 보행문화(이촌~반포), 신문화복합(성수~압구정), 역사문화(암사~아차산) 지구로 각각 특화하기로 했다. 특히 한강변의 접근을 막는 강변도로는 지하화하거나 도로 위로 보행교를 설치해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병풍 아파트’가 사라지는 데 대해 건축가들은 녹지를 확보하고 바람길을 열 수 있다는 점에서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광장’의 김원 대표는 “공공으로 쓸 녹지를 더 확보하고 조망을 터 놓는 것은 좋은 방향”이라며 “다만 에너지 소비가 많아 비효율적인 고층이 들어가지 않더라도 문화가 들어가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니 고층의 대안도 고민해 봐야한다”고 말했다.
김경욱 김소민 기자 dash@hani.co.kr
김경욱 김소민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