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총학생회-비정규교수노조-시민단체 등)
한나라당 박근혜 의원이 지난 22일 영남대 재단 이사 4명을 추천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영남대 안팎에서 박 의원의 복귀를 반대하는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영남대 비정규교수노조와 총학생회, 지역 시민단체 등 20여 개 단체가 23일 꾸린 비상대책위원회는 “박근혜 의원이 재단을 다시 장악하려는 의도가 명백하다”며 “부정입학 등으로 재단에서 물러난 박 의원이 다시 복귀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를 28일 밝혔다.
“부정입학으로 물러난 사람이 이사추천 안될 말”
설문조사 때 학생의견 안물어…동맹휴업도 불사 비상대책위는 “박 의원은 먼저 과거의 비리에 대해 진솔한 사과를 한 뒤 영남대에서 완전히 손을 떼야 한다”며 “교육과학기술부는 새로운 영남대 재단이사들을 승인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이 대학 교정 곳곳에는 이날 현재 1주일째 ‘박근혜 의원 재단 복귀 반대’등이라고 쓴 펼침막 20여 개가 걸려 있다. 비정규교수노조 등으로 이뤄진 영남학원 민주단체협의회 윤병태(49) 의장은 “측근들을 재단 이사로 추천하는 등의 방법으로 박 의원이 복귀한다면 동맹휴업과 파업 등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윤 의장은 또 “지역 시민단체 뿐만 아니라 전국의 시민단체와 교육단체 등과 힘을 모아 박 의원의 재단 복귀를 반드시 막아내겠다”고 덧붙였다. 김일환(27·전자과 3년) 총학생회장도 “박 의원의 참여를 결정하는 설문조사를 할 때 학생들에게는 의견을 물어보지 않았다”며 “비정규교수노조와 영남의료원 노조, 영남대 민주동문회 등과 공동으로 저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대학 총학생회 등 4개 단체는 매주 한 차례 대표자 모임을 열어 박 의원의 재단 복귀를 막아 내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영남대 전신인 청구대 설립자의 아들 최찬식(82)씨도 박 의원이 재단에 복귀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를 분명히 밝혔다. 그는 “1967년 당시 청구대학이 청와대에 강제로 헌납됐다”고 주장해왔다. 교수들도 박 의원 복귀를 놓고 찬반양론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교수들은 “박 의원이 재단 이사 4명을 추천한 뒤 교수들이 삼삼오오 모여 논의하고 있다”며 교내 분위기를 전한 뒤 “박 의원의 복귀에 찬성하는 교수들도 많지만, 새로운 재단이사들이 과연 학교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비전을 내놓을 수 있을 지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 반대하는 움직임도 만만찮다”고 털어놨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설문조사 때 학생의견 안물어…동맹휴업도 불사 비상대책위는 “박 의원은 먼저 과거의 비리에 대해 진솔한 사과를 한 뒤 영남대에서 완전히 손을 떼야 한다”며 “교육과학기술부는 새로운 영남대 재단이사들을 승인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이 대학 교정 곳곳에는 이날 현재 1주일째 ‘박근혜 의원 재단 복귀 반대’등이라고 쓴 펼침막 20여 개가 걸려 있다. 비정규교수노조 등으로 이뤄진 영남학원 민주단체협의회 윤병태(49) 의장은 “측근들을 재단 이사로 추천하는 등의 방법으로 박 의원이 복귀한다면 동맹휴업과 파업 등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윤 의장은 또 “지역 시민단체 뿐만 아니라 전국의 시민단체와 교육단체 등과 힘을 모아 박 의원의 재단 복귀를 반드시 막아내겠다”고 덧붙였다. 김일환(27·전자과 3년) 총학생회장도 “박 의원의 참여를 결정하는 설문조사를 할 때 학생들에게는 의견을 물어보지 않았다”며 “비정규교수노조와 영남의료원 노조, 영남대 민주동문회 등과 공동으로 저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대학 총학생회 등 4개 단체는 매주 한 차례 대표자 모임을 열어 박 의원의 재단 복귀를 막아 내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영남대 전신인 청구대 설립자의 아들 최찬식(82)씨도 박 의원이 재단에 복귀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를 분명히 밝혔다. 그는 “1967년 당시 청구대학이 청와대에 강제로 헌납됐다”고 주장해왔다. 교수들도 박 의원 복귀를 놓고 찬반양론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교수들은 “박 의원이 재단 이사 4명을 추천한 뒤 교수들이 삼삼오오 모여 논의하고 있다”며 교내 분위기를 전한 뒤 “박 의원의 복귀에 찬성하는 교수들도 많지만, 새로운 재단이사들이 과연 학교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비전을 내놓을 수 있을 지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 반대하는 움직임도 만만찮다”고 털어놨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