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부추긴다” 비판에 “확정된 방침 아냐” 해명
지난해 10년 만에 부활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일제고사의 부작용이 터져 나오고 있다.
울산시교육청은 지난달 29일 지역 초등학교 116곳의 교감과 6학년 부장교사들을 시교육청 강당으로 불렀다. 주무부서인 학교정책과 과장의 인사말에 이어 초등교육과 ㅅ장학관이 “지난해 3월 치러진 전국 중1 교과학습 진단평가(일제고사)에서 최하위권을 기록해 고개를 들고 다닐 수 없었다. 다음달 10일 예정인 전국 중1 진단평가(국어·영어·수학·과학·사회) 결과를 초등학교 교감 인사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다음달 중1이 되는 현재 6학년들을 대상으로 시교육청이 만든 진단평가 대비 문제집을 수업시간에 활용하라”며 “시교육청의 문제집을 제대로 풀이했는지를 중학교 교사들을 통해 확인하고, 진단평가 결과를 초등학교에 통보하겠다”고 덧붙였다.
회의에 참석했던 6학년 부장교사는 “인사 반영 얘기를 듣고는 다음달 진단평가에서 성적을 올리지 않으면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생각과 함께 압력을 느꼈다”고 말했다.
전교조 울산지부는 “시교육청이 학습 부진아를 찾아내 대책을 마련한다는 진단평가 목적 자체를 스스로 거스르고 사교육비 부담에다 경제난으로 고통 받고 있는 학부모들의 등골을 더욱 휘게 만든다”며 “점수 따기 경쟁을 부추기는 정책을 중단하지 않으면 일제고사 거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파문이 커지자 ㅅ장학관은 2일 <한겨레>와 통화에서 “학습부진아 교육에 분발하라는 뜻으로 그런 발언을 했으며, 실제 인사 고과에 반영하겠다는 뜻은 아니었고 그런 방침이 확정된 것도 아니다”며 한발 물러섰다.
앞서 지난해 3월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은 전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진단평가를 시행했으며, 성적을 공개한 7개 시·도교육청 가운데 울산이 최하위였던사실이 알려졌다. 이를 두고 지역 교육 현장에선 “울산의 학력이 전국에서 꼴찌라는 반증”이라는 쪽과 “변별력이 없이 출제되는 진단평가 결과가 학력 수준을 비교하는 잣대가 될 수 없다”는 쪽으로 나뉘어 논란이 계속됐다. 이어 울산 북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월말고사를 치른 뒤 결과를 개별 통보를 해 일부 학부모들이 반발하기도 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