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장 수익금 환원요구 이어 난지하수처리장 지하화 요구
이른바 ‘기피시설’의 설치·운영을 둘러싸고 서울시와 경기도 사이에 분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와 자치구들이 경기도에 운영 중인 기피시설은 화장장 등 추모시설 12곳, 하수처리장 등 환경시설 4곳, 요양원 등 수용·복지시설 28곳 등 모두 44곳에 이른다.
경기 고양시 의회 손대순 의원은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있는 서울시립 승화원의 외지인 사용료를 현실화한 뒤, 수익의 40%를 고양시 원신동과 고양동 등 주민에게 지급하도록 서울시에 요구했다고 19일 밝혔다. 손 의원은 “환원된 수익금은 화장장 때문에 고통을 받는 주민들을 위해 써야 한다”며 “20여년 동안 서울시가 내놓은 주민 지원금은 마을회관 건립비 등 8억4천만원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신선의 서울시 노인복지팀장은 “승화원은 주민과 협의해 무리 없이 운영해 왔다”며 “시가 원지동추모공원 설립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라 승화원 문제는 검토할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승화원 수익금 환원과 관련해 서울시와 고양시 의회, 경기도 의회 주민기피시설 특별대책위원회(위원장 정문식) 관계자 등이 모여 회의를 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1986년 승화원을 세워, 서울·고양·파주 시민은 9만원, 다른 지역 주민은 30만원의 화장장 이용료를 받고 있으며, 하루 평균 100여차례 화장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경기도 의회와 고양시는 최근 ‘난지물재생센터(하수처리장)’를 지하화할 것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 기관은 “서울시가 탄천·중랑·서남 등 서울지역의 물재생센터 3곳을 지하화했으면서도 고양시 현천동에 있는 난지물재생센터는 예산을 확보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난지물재생센터는 92만3천㎡ 규모인데, 서울시 물재생센터 4곳 가운데 가장 크다. 이에 대해 서울시 박종웅 물재생시설과 시설팀장은 “중랑 물재생센터 등은 건립 때만 해도 시 변두리였으나 도시가 커지면서 현재 주거지역 안으로 들어와 손볼 수밖에 없었다”며 “난지물재생센터 지하화는 대규모 사업이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기성 김소민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