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갈수기 대책없어” 반발
김범일 시장 “여당 대표와 합의”
김범일 시장 “여당 대표와 합의”
대구시민들이 마시는 수돗물의 취수원을 낙동강 상류인 안동댐으로 옮기는 게 가능할까?
김범일 대구시장은 지난 20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대구시 상수도 취수원을 171㎞ 떨어진 안동댐으로 옮기기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와 홍준표 원내대표와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김 시장은 이를 위해 올해 정부 추가경정예산에 설계비 320억원을 반영하겠다는 약속을 얻어냈다고 덧붙였다.
대구시는 안동댐에서 하루 60만여t을 취수해 171㎞의 도수관을 통해 대구정수장으로 끌어오며, 여기에 필요한 사업비 8천억원 모두 국비를 지원받아 2010년에 공사를 시작해 2012년에 완공할 계획을 세워 놨다.
시는 해마다 되풀이되는 낙동강 오염사고로 대구시민들이 마시는 수돗물 오염파동을 겪어오면서 내부적으로 4∼5년전부터 취수원을 구미공단 상류나 안동댐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용역을 맡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비용문제와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반발을 이유로 들어 취수원 이전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전문기관의 지적대로 김 시장이 취수원 이전을 발표한 뒤 경북도가 발끈하고 나섰다. 경북도 직원들은 “안동댐에서 하루 60만t을 취수하면 물이 부족한 갈수기에 하류 쪽 취수장에서 물이 모자라면 어떻게 하느냐”며 우려했다. 경북도의 한 간부직원은 “대구시가 오래전부터 추진해온 방안인데, 이번 김 시장의 발표도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아 보인다”는 견해를 밝혔다.
낙동강 본류에서 물을 끌어와 식수로 쓰는 경북 지역 기초자치단체는 안동 구미 상주 고령 예천 등이며, 군위 의성 김천 등은 낙동강 지류를 취수원으로 사용한다. 김휘동 안동시장은 “갈수기때 사실상 대책이 없으며, 평소에도 수량이 모자라면 아름다운 낙동강의 경치가 사라지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대구경북 녹색연합 이재혁 운영위원장은 “김 시장이 사전 조율 없이 갑자기 취수원 이전을 발표하는 바람에 경북도와 지방환경청 등 관련 기관이 혼란을 빚고 있다”며 “갈수기때 물이 모자라 자칫하면 지방자치단체끼리 물싸움이 일어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