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사업 건의…환경단체 “대운하 일환” 비판
경기도는 2일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맞춰 22조8806억원을 들여 한강을 살리기 위한 152개의 ‘한강 잇기’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정부에 이를 건의했다.
도는 이미 1조9800여억원을 투자했으며, 20조9천여억원은 앞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9조6천여억원은 국비, 2조7천여억원은 지방비, 6조4천여억원은 민간자본, 2조2천여억원은 사업자 부담으로 조달할 계획이다. 연도별로는 올해 2조1701억원,내년 3조8746억원, 2011년 이후 14조8529억원을 각각 투자한다.
이재율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은 “경기도의 ‘강변 살자’ 사업의 목적은 단순히 홍수 방지나 물 부족 해결이 아니라, 물길을 통해 남북을 잇고 서해를 통해 대륙과 소통함으로써 후손들에게 훌륭한 환경을 물려주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도가 내년까지 투자 예정인 사업비는 6조4천억여원으로, 정부가 올해부터 2011년까지 4대강 살리기에 투자하는 14조원의 42%에 이르고, 도의 연간 가용 재원도 1조원 정도에 불과해 재원 확보 전망은 불투명하다.
환경단체들은 한강 하류 준설과 중국을 잇는 뱃길 조성이 대운하 사업의 일환이 될 수 있고, 관광지 조성 등으로 환경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안명균 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한강 하류의 재두루미 서식지는 비무장 지대, 남·북한강 주변은 상수원 보호구역 때문에 그나마 생태가 보존돼 왔다”며 “재두루미 서식지를 개발하거나 하구를 준설하는 것은 ‘강 살리기’가 아니라 오히려 ‘강 죽이기’”라고 지적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