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무원 없애고 정비는 용역…공사 “유지관리 효율적”
노조 “대형사고 위험”…다른 도시 도입 앞두고 관심
노조 “대형사고 위험”…다른 도시 도입 앞두고 관심
효율이냐? 안전이냐?
내년 12월에 개통하는 부산지하철 반송선(3호선 2단계) 모든 구간의 무인운전 및 무인역 운영 계획을 싸고 부산교통공사 노사가 심상찮은 대립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부산교통공사는 8일 부산지하철 반송선 운영 계획을 발표하면서 12.7㎞ 모든 구간의 차량 운행과 역무 관리 및 승객 안전관리를 종합관제소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무인시스템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공사는 반송선의 무인시스템을 무인운전, 무역장, 무역무원, 무매표소, 무분소로 짜여진 ‘5무 제도’로 표현했다.
이와 함께 공사는 반송선 운영과 관련한 인력도 기존 9개 직렬을 5개로 조정함으로써 1인 다기능화하며, 시설물 유지보수도 일상적인 순회점검은 직영관리하는 한편, 정기점검 및 정비 업무는 외부에 용역을 맡기는 방식으로 효율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공사가 밝힌 모든 구간 무인시스템은 국내에 전례가 없고 효율성과 조직의 슬림화에만 초점이 맞춰져 지하철 노동자의 고용과 노동환경은 물론, 공공재인 지하철의 공익성을 심각하게 해칠 우려가 크다”며 반대하고 나섰다. 또 “공사의 무인시스템에는 이용 시민의 안전과 편리성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며 “지하구간에도 승객과 시설의 안전을 맡는 상주직원이 없다는 것은 2003년 대구지하철 참사와 같은 대형사고 위험을 방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반송선이 통과하는 반송 지역은 부산의 대표적인 교통 낙후지역으로 장애인과 노약자 등 교통약자의 이용률이 높아 다른 노선보다 안전과 편리함에 점을 둬야 하나 오히려 불편함 불안전을 가중시키려 한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10일로 예정된 대의원대회에서 요구안을 확정 짓고 하순부터 시작할 올해 단체교섭에서 반송선 무인시스템 계획을 핵심 쟁점으로 삼아 장애인과 지역주민, 시민단체와 연대한 강력한 반대투쟁을 벌여 나갈 방침이다.
박한근 부산교통공사 운영본부장은 “무인운전시스템은 수도권의 용인선을 비롯한 국내 대부분 경량전철 구간에 적용하려는 것으로 유지관리의 효율성은 물론 안전성도 검증됐다”며 “세분화된 추진제동제어시스템으로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높이고, 차내에 시시티브이와 화재감지장치, 비상인터폰 등을 배치해 승객의 안전성도 높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교통공사는 이날 오후 부산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 반송선 차량기지에서 허남식 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 4번째로 국산화에 성공해 반송선에 운행하게 될 국내 최초의 고무바퀴 전동차량 시승식을 거행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