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묻지 않은 임진강 습지, 준설로 훼손위기
경기도 ‘준설 추진’…3년전 환경부·국방부 ‘반대’
환경단체 “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서식지 보존을”
환경단체 “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서식지 보존을”
지난 반세기 동안 남북간의 대치 상황으로 천혜의 자연 습지로 보존돼온 임진강 습지들이 훼손 위기에 놓였다. 경기도가 ‘4대강 살리기’ 및 홍수 예방을 위해 임진강의 준설을 추진하기로 하자, 환경단체들은 “골재 채취가 목적”이라며 “습지보전 지구로 지정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13일 경기도와 환경단체의 말을 들어보면, 경기도는 파주시 탄현면 낙하리∼진동면 동파리의 임진강 17.6㎞에 대한 준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이번 임진강 준설은 골재 채취가 목적이 아니라, 198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천 바닥이 높아진 임진강 하류의 홍수 조절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이라고 밝혔다. 이 곳의 준설량은 대략 1억7천만㎥로 추정된다. 이에 앞서 경기도는 이 사업을 위해 올해 초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임진강 하도 준설을 포함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태스크포스도 꾸렸다.
이 사업에 대해 지난 2006년 환경부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집단 서식지로 준설은 타당하지 않다”, 국방부도 “하도 준설이 적의 공격에 유리한 데다 지뢰지역이어서 준설은 불가하다”며 반대한 바 있다.
‘운하백지화 경기행동’ 등 환경단체들은 지난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임진강 준설은 이 곳의 자연 생태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환경단체들은 “준설 예정지가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지역으로, 참게와 장어 등 회유성 어류가 많고, 장단·운천·초평도 습지 등에서는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금개구리는 물론 천연기념물인 어름치, 보호종인 두우쟁이·묵납자루 등이 서식한다”고 밝혔다.
파주 환경운동연합 이현숙 의장 직무대행은 “임진강과 한강 하류는 남북 대치 때문에 강 하구와 습지가 온전히 보존된 곳”이라며 “2년 전 환경부와 국방부가 반대한 일인데, 경기도가 대통령의 4대강 살리기 사업에 편승해 준설에 나서려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하나로 검토 중”이라며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임진강 준설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추진중이므로, 이 결과가 나오면 시행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