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당·국회의원 사무소 장애인 휠체어 ‘접근불가’
한나라당과 민주당,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등 4개 정당 대구시당과 지역 출신 국회의원 8명의 사무소가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없도록 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밝은내일회와 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중증장애인독립생활대책협의회 등 장애인단체들이 최근 대구시당 사무실을 내놓고 있는 정당 6곳을 조사해보니, 이들 4개 정당 대구시당은 경사로나 엘레베이트 등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휠체어 이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진보신당과 사회당은 매우 불편하기는 했지만 휠체어 이용이 가능했다고 밝혔다.
장애인단체들은 “한나라당이 대구를 대표하는 정당인데도 휠체어 장애인이 들어갈 수 없다”며 “장애인을 동등한 시민의 일원으로서 배려하지 못한 뒤떨어진 의식 수준을 보여줬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대구시당 이달희 사무처장은 “대구시당 건물이 낡고 비좁아 2년 전에 엘리베이터는 설치했지만 입구 너비가 좁고 계단 때문에 전동휠체어를 타고 3층과 4층 사무실에 오르기가 어렵다”며 “빠른 시간안에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건물을 수리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도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당사를 방문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 단체들은 국회의원들의 대구사무소 12곳도 조사했더니 이해봉·박종근·이한구·이명규 의원의 사무소 4곳만 휠체어 접근이 가능했으며, 홍사덕·조원진·서상기·주성영·주호영·박근혜·배영식·유승민 의원 등 8곳은 접근 자체가 불가능했다고 밝혔다.
이 단체들은 “정당사무소와 국회의원 지역사무소는 공공기관의 성격이 짙어 법규에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반드시 장애인시설이 설치돼야 한다”며 “휠체어 접근이 어려운 것으로 드러난 정당사무소와 국회의원 사무소 12곳에 대해 장애인을 차별했다는 이유로 국가인권위원회에 시정을 요구하는 진정을 내겠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