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기념행사·노 전 대통령 국민장…
원탁회의·서명운동·정치회동 등 잇따라
유족회 등 합의안 나오면 수용 뜻 밝혀
원탁회의·서명운동·정치회동 등 잇따라
유족회 등 합의안 나오면 수용 뜻 밝혀
5·18민중항쟁 29돌 기념행사와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이 얽히고설킨 옛 전남도청 별관문제를 푸는 계기가 될까?
지난달 5·18과 국민장을 거치면서 ‘광주 민심’을 확인한 정당·기관·단체 등 각계각층이 별관문제를 풀려는 원탁회의, 서명운동, 정치회동을 잇따라 펼칠 예정이어서 기대를 모은다.
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과 옛 전남도청 별관 논란의 합리적 해결을 바라는 시민모임은 2일 오전 11시 광주시 동구 증심사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치단체나 시민단체의 목소리보다는 일반 시민의 뜻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자”고 제안한다.
지역인사 1천여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한 시민모임은 “광주시·문화부가 갈등을 방치하며 직무유기를 해왔고, 5월단체들은 비이성적 폭력사태로 시민한테 실망을 안겼다”며 “여론조사·주민투표·시민의회 등 방식으로 문제를 풀기 위해 시민 5만명의 서명을 받겠다”고 다짐했다.
한햇동안 소극적 태도를 보였던 민주당의 발걸음도 바빠졌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3일 저녁 7시 ㅅ음식점에서 박광태 광주시장, 김동철 등 국회의원 7명, 최협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원장 등이 참석하는 모임을 열어 별관문제를 매듭짓는 방안을 찾는다. 앞서 박 시장은 1일 시 정례조회에서 “문화수도 조성사업이 지난 1년 동안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제는 해결돼야 한다”며 “지난해 500억원, 올해 500억원 등 묶여있는 예산 1000억원을 시민들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들은 진보와 보수를 망라한 원탁회의를 열어 별관 해법을 찾기로 했다. 이르면 10일께 광주시민단체협의회·광주전남진보연대·광주여성단체연합·광주시민단체총연합·동구지역주민 등으로 짜여진 원탁회의를 발족한다. 여러 단체에 문호를 개방해 대표성을 확보하고, 당사자인 5·18 제단체와 문화부 추진단은 배제해 감정 대립을 막을 예정이다.
서정훈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사무처장은 “별관의 철거와 보존을 두고 갈라졌던 시민사회가 노 전 대통령 추모무대에서 마음을 하나로 모으면서 문제해결의 분위기가 무르익었다”며 “합의안이 나오면 5월 단체와 추진단이 열린 자세로 받아들이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성 중인 5·18유족회와 부상자회는 합의안을 수용한다는 태도다. 강구영 5·18 부상자회 정책기획국장은 “ 해법을 찾으려는 물밑 움직임이 여러 갈래”라며 “시민적 공감과 사회적 합의가 뒷받침된 상생 방안이 나오면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