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조6천억원 규모…지역 국회의원 가세 유치전 가열
늦어도 다음달 초 선정이 예상되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놓고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의 유치전이 치열하다.
유치 신청을 낸 전국 10곳의 지자체들은 저마다 최적지라고 주장한다. 서울(마곡), 경기(광교), 인천(송도) 등 수도권 쪽은 잘 갖춰진 의료기관·인력과 연계성, 지원 능력, 접근성 등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 최종 입지 선정 평가항목에 국토 균형 발전과 수도권 집중화 현상에 대한 우려란 내용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지방의 지자체들은 제각기 ‘특장’을 제시한다. 강원 원주는 의료기기 산업단지 구축과 지역 균형발전을, 대전 대덕은 연구 기반을, 충남 아산은 온천, 의료 관광 클러스터 등을 강점으로 꼽는다. 충북은 오송생명과학단지가 있는데다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보건의료 기관과 제약 관련 업체 입주 등을 장점으로 부각시킨다. 대구·경북은 6곳의 대학병원 등 의료연구개발기관의 집적과 파격적인 분양가(3.3㎡당 100만원)를 제시해 눈길을 끈다. 부산·울산·경남과 광주·전남 등은 각각 동남권, 호남권 지역 균형 발전과 함께, 자치단체간 공동 유치전을 내세웠다.
지자체들이 이처럼 뜨거운 유치전에 뛰어든 데는 의료복합단지가 가져다줄 엄청난 파급효과 때문이다. 이 단지는 정부가 오는 2038년까지 5조6000억원을 들이며, 100만㎡에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 임상실험센터 등이 조성된다. 이 단지 유치는 82조원의 생산 증가와 38만여명의 고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지자체 유치전에 단체장은 물론 지역 국회의원 등이 총동원되어 움직이는 이유다.
청주/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