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반송선 배치인력은 전원 신규채용해야”
공사 “엄격히 대응…대화 창구는 열어놓겠다”
공사 “엄격히 대응…대화 창구는 열어놓겠다”
부산지하철 노조가 부산교통공사와 최종 교섭에서 반송선 무인화 및 인력충원 문제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26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갔다.
부산지하철 노조는 새벽 4시 승무(기관사)지부를 시작으로 오전 9시 나머지 기술·역무·차량지부가 가세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앞서 노조는 지난 25일 오후 3시부터 8시간여 동안 부산교통공사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최종 교섭을 벌여 내년말 개통하는 반송선의 무인화 계획 폐지 및 520명의 신규인력 채용을 요구했으나 공사 쪽이 신규인력 227명 채용에 기존노선 인력 135명의 반송선 전환배치안을 내놓아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긴 했으나 개정된 노동관계법에 따른 필수유지업무 협정으로 운전과 관제·전기 등 시설물 유지 업무에 858명의 인력이 배치됨에 따라, 전동차 운행 및 승객수송에 큰 차질은 빚어지지 않았다. 이날 부산의 지하철 운행률은 출근 및 퇴근시간대에는 각각 100%와 75% 수준을 유지했으나 그밖의 시간에는 평소의 50% 수준 밖에 되지 않아, 파업이 장기화되면 승객수송에 적잖은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교통공사는 부산시와 협력업체 등으로부터 589명의 외부인력을 지원받아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다.
노조는 이날 오전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1000여명의 조합원이 참가한 가운데 파업 출정식을 열고 “부산교통공사의 제시안대로라면 지하철 운영시스템과 근무직원의 동시 부실을 불러 전국 최악의 지하철로 추락할 수 있다”며 “시민 안전과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 등을 위해 반송선 배치인력은 전원 신규채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사 쪽은 “인력 효율화 방안에 대한 노조의 거부로 교섭이 깨졌다”며 “노조의 파업에 대해선 무노동 무임금 적용 등 엄격히 대응하겠지만 대화창구는 계속 열어놓겠다”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