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식 초등생 울린 경기교육위원들
“경제 더 어려워지면 지원 못할까봐”
“경제 더 어려워지면 지원 못할까봐”
농·산·어촌과 도시지역 300명 이하 초등학생들을 위한 경기도 교육청의 무상급식 예산 171억원 가운데 50%를 깎은 경기도 교육위원 8명이 여론에 밀려 해명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러나 잘못을 인정하기보다 ‘변명에 그쳤다’는 지적을 받았다.
29일 오전 경기도 교육청 소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연 도 교육위원 8명은 “무상급식 예산을 50% 깎은 일로 심려를 끼쳐 유감스럽다”면서도 “올해는 잉여예산으로 지원할 수 있지만, 내년에 경제가 더 어려워지면 무상급식비 지원이 가능할 지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급식 예산의 삭감 이유를 밝혔다.
이들은 또 “삭감으로 남은 예산을 도시지역 300명 이상 초등학교 학생 가운데 무상급식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사용하려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작 경기도 도시지역 300명 이상 학교 가운데 급식비를 지원받아야 하는데도 받지 못하는 학생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이들은 밝혔다. 이들은 또 “앞으로 소수의견이 더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교육위원들의 기자회견이 열리는 동안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경기지부’와 ‘친환경급식을 위한 경기운동본부’, 전교조 경기지부는 도 교육청 소회의실 앞에서 도 교육위원들과의 공개 토론을 요구하는 팻말을 들고 침묵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교육위원들이 진솔한 사과 대신 변명과 합리화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성남평화연대’ 등 6개 지역 시민단체도 이날 성남시청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교육위원들은 변명하지 말고 교육자적 양심을 회복해 삭감된 예산을 되살리라”고 요구했다.
한편 최창의·이재삼 도 교육위원은 급식예산 삭감에 반성하고 항의하는 뜻으로 지난 23일부터 경기도 교육위원회 본회의장에서 경기도민과 학부모들에 대해 석고대죄(자리를 깔고 벌을 기다리는)하는 농성을 8일째 벌이고 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