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입뒤 대화끊겨…영차증편 위법논란도
노조, 29일 회사에 “교섭재개” 공문 보내
노조, 29일 회사에 “교섭재개” 공문 보내
부산지하철 노조가 부산교통공사와 반송선 무인화 및 인력 충원 문제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총파업에 들어간 지 나흘째 되는 29일까지 노사간 교섭이 재개되지 않아 파업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노조는 29일 오전 11시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1천여 조합원이 참가한 가운데 파업 4일째 총력결의대회를 열고 각 지부별로 시내 곳곳에서 홍보활동을 벌였다. 노조는 결의대회에서 “노동자가 파업을 하면 힘을 가진 사용자가 교섭을 제안하는 성의를 보여야 하는데 파업 4일째 되도록 아무 제의도 하지 않는 옹졸함을 드러내고 있다”며 “더욱이 파업을 합리적이고 진지하게 해결할 방법을 찾지 않고 언론플레이와 정쟁화에 골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날 오전 공사 쪽에 교섭 재개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공사는 노조의 파업 뒤 필수유지업무 협정에 따른 운전과 관제·전기 등 시설물 유지 업무에 858명의 인력을 배치해 출근 및 퇴근시간대 열차 운행률을 각각 100%와 75% 수준으로 유지했다. 하지만 그밖의 시간대 운행률이 평소의 50% 수준을 밑돌자 26일과 29일 배차시간이 긴 취약시간대에 잇따라 모두 32편의 열차를 증편해 기관사 면허를 가진 비조합원들을 배치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지방노동위가 정한 필수유지업무 비율을 어겨 가며 열차 운행을 증편해 노조의 파업 동력을 약화시키려 한다”며 “노조의 단체행동권 보장과 지하철 승객의 최소 서비스 제공이라는 필수유지제도 도입 취지를 훼손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하지만 공사 쪽은 “승객들의 불편을 덜기 위해 법률자문을 거쳐 기관사 면허가 있는 간부사원 및 비조합원들을 배치해 열차를 증편 운행하는 것”이라며 “노조의 교섭 재개 요청에 따라 일정을 조정해 30일쯤이면 교섭 재개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지난 25일 공사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최종 교섭을 벌여 내년말 개통하는 반송선의 무인화계획 폐지 및 520명의 신규 인력 채용을 요구했으나 공사 쪽이 신규인력 227명 채용에 기존노선 인력 135명의 반송선 전환배치안을 내놓아 끝내 이견을 좁혀지지 않자 26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갔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