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등 진출맞서 ‘상인살리기네트워크’ 출범
서명운동·상인학교 등 추진…보호조례 마련도 촉구
서명운동·상인학교 등 추진…보호조례 마련도 촉구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에 눌려 신음하고 있는 지역의 소상공인들을 살리기 위해 울산의 시민단체들과 중소상인들이 손을 맞잡았다.
남구주민회, 중구주민회 준비위원회, 울산시민연대 등 시민단체 3곳과 재래시장인 신정시장, 울산신용카드가맹점사업협동조합, 울산컴퓨터월드상우회 등 상인조합 및 단체 13곳 등 16곳은 2일 울산중소상인살리기네트워크를 출범시켰다. 참여단체 대표 11명으로 꾸려진 집행위원회는 다달이 한 차례 회의를 열기로 했으며, 공인회계사와 도시계획전문가, 변호사, 교수 등 4명을 자문위원으로 두기로 했다.
이 단체는 앞으로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의 무차별 출점을 규제하는 법안 마련을 위한 서명운동과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다. 또 울산시의회에 소상공인보호조례 제정을 요구하고, 울산시에는 중소상인들의 실태를 파악한 뒤 해결 과제를 협의하고 실행하는 기구의 신설과 대형마트 설립을 제한하는 방안 마련을 촉구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중소상인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세무, 법률, 경영상담, 기초 외국어회화 등을 가르치는 상인학교도 연다.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의 진출로 피해를 입은 지역 중소상인을 조사해 보고서를 만들며, 중소상인과 재래시장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 자치단체에 제안도 하기로 했다.
또 카드회사에는 영세점포의 신용카드 수수료가 대형마트보다 갑절 가량 높은 차별 관행을 개선하고 중소상인들에게도 신용카드 수수료 협상권을 주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정부와 자치단체에는 폐업한 상인들의 생존권 보호를 위한 방안 마련을 촉구할 방침이다.
중구주민회 준비위 김영애 공동대표는 “대형유통업체들이 벌어들인 수익금은 수도권 본사로 고스란히 돌아가 지역경제 왜곡현상을 낳고 있다”며 “중소상인들을 보호하는 것이 지역경제를 살리는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울산중소상인살리기네트워크가 조사한 자료를 보면, 전국 대형마트의 매출은 2007년 28조2500억원에서 지난해 29조9400억원으로 5.09% 늘었지만 울산은 2007년 7270억원에서 지난해 8320억원으로 무려 14.4%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울산의 대형마트는 1998년 메가마트 언양점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0곳, 기업형 슈퍼마켓은 13곳이 영업을 하고 있다. 이와 달리 울산의 중소유통업체는 2002~2006년 4년 동안 594개가 줄어들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