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적 도움 안돼” 이유
부산 지역 20~30대 청년층 상당수가 현재 정부가 펴고 있는 ‘청년인턴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청년희망센터와 부산청년회는 최근 한 달여 동안 지역 대학과 도심지에서 20~30대 청년층 12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했더니, 청년인턴제에 대해 응답자의 66%가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고 6일 밝혔다. 찬성 의견은 30%에 그쳤다.
반대 의견을 나타낸 응답자의 86%는 ‘몇달이 지나면 다시 실업자가 돼 근본적인 도움이 안 된다’는 이유를 들었다. 찬성 의견을 나타낸 이들은 72%가 ‘단기 일자리라도 경험에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청년인턴제가 앞으로 어떻게 돼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청년인턴제를 폐기하고 신규채용, 정규직 채용을 확대해야 한다’가 37%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가 31%, ‘경력 인정, 기간 연장 등 수정·보완돼야 한다’가 24%로 뒤를 이었다. ‘청년인턴제가 계속 유지·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에는 7%만이 동의했다.
기업에서 의무적으로 청년실업자를 일정 인원 고용하도록 하는 ‘청년고용할당제’에 대해서는 49%가 ‘고용 위기를 극복할 대안’이라고 응답했고, 28%는 ‘실효성 없는 정책’이라고 응답했다. 대졸 초임 삭감, 임금 동결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 등에 대해서는 59%가 ‘경제위기 책임을 노동자·서민에게 전가하는 것’이라고 답했고, 30%는 ‘적절한 대안’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설문 응답자들은 취업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급여’(35%)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고용 안정성’(32%)과 ‘적성과 흥미’(30%)를 꼽았다. 이는 2007년 한국청년센터와 공동으로 벌인 실태조사 때 ‘적성과 흥미’가 60.5%로 1순위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급여’와 ‘고용 안정성’을 꼽았던 것과는 크게 바뀐 반응이다.
함영희 부산청년희망센터 사무국장은 “현재 기업체마다 임금 삭감 및 동결로 급여 수준이 낮아지고, 비정규직 및 단기 일자리 확대와 정규직 채용 축소 등으로 고용 불안이 심해져 적성과 흥미보다 급여와 고용 안정을 많이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지적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