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봉구청, 전산기록 조작…월 25만∼30만원 꿀꺽
서울의 도봉구청의 공무원들이 야근을 하지도 않은 동료의 시간외근무 수당(야근 수당)을 챙기다가 적발됐다. 야근수당 편법 챙기기는 다른 자치단체에서도 상습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23일 밤 서울 도봉구청 야근 당직자들은 밤 11시를 넘기자 구청직원들의 카드를 쌓아놓고 당직실 앞에 놓인 야근기록기에 차례로 카드를 입력했다. 야근 당직자들은 직원들의 개인카드를 미리 모아뒀다 밤늦게 허위 입력하는 방법으로 야근 기록을 조작해 왔다. 이 사실은 <문화일보> 기자에 의해 현장에서 적발됐다.
행자부의 ‘지방공무원 보수 업무 등 처리치침’을 보면, 공무원 한 사람이 월 67시간을 안 넘는 한도에서 야근시간에 따라 수당을 지급하게 돼 있다. 그러나 이 구청 5급 이하 공무원들은 이처럼 야근수당 전산 기록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월 55시간분의 야근수당을 일률적으로 챙겨왔다. 야근수당은 시간당 5급 8506원, 6급 7216원, 7급 6475원, 8급 5802원, 9급 5204원으로 연간 1100명의 전체직원 야근수당 책정예산은 27억~28억원이다.
앞서 도봉구청 공무원직장협의회는 지난해 11월 구청 쪽에 ‘직원 후생복리 차원에서 월 55시간분의 야근수당을 모든 직원에게 지급할 것’을 요구해 구청의 동의를 받아냈다.
도봉구청 관계자는 “ 밤 11시까지 일했던 공무원이 저녁 8~10시께 퇴근한 몇몇 친한 동료들의 야근 수당을 챙겨주기 위해 야근기록시스템에 카드를 입력한 것”이라며 “전체 공무원이 조직적으로 야근수당 챙기기를 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다른 구청 관계자는 “야근 수당 챙겨주기 문제는 비단 한 구청의 문제가 아닌 전 구청에서 관행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며 “과거 손으로 야근 일지로 작성했을 때는 더 심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구청 관계자는 “공무원들은 한달 평균 25만~30만원 받는 야근수당을 후생 복지 차원의 지원금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 문제”라며 “야근 수당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행자부는 “올 3월 공무원들이 야근을 할 경우, 부서장의 명령을 받도록 하고 야근 뒤에는 어떤 일을 했는지 등을 기록하도록 하는 지침을 내렸다”며 “하지만 공무원들이 이 지침을 잘 지키지 않고 있어 개선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행자부는 “올 3월 공무원들이 야근을 할 경우, 부서장의 명령을 받도록 하고 야근 뒤에는 어떤 일을 했는지 등을 기록하도록 하는 지침을 내렸다”며 “하지만 공무원들이 이 지침을 잘 지키지 않고 있어 개선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