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찬우(오른쪽에서 세번째)씨 등 울산 북구청 직원들이 지역에서 생산된 친환경 농산물을 손에 들고 활짝 웃고 있다. 울산 북구청 제공
울산북궝 직원들 ‘무농약 농산물’ 회원제 사고팔기 울산 북구청 공무원들이 수입개방 등으로 어려움에 빠진 지역 농가를 살리려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다달이 직접 사주는 먹거리 공동체를 꾸리고 나섰다. 북구 농림수산과 권찬우(37·7급)씨 등 6명의 공무원들은 지난해부터 지역의 친환경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시켜 주는 먹거리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농수산물의 잇따른 개방으로 인해 위기에 놓인 우리 농촌의 경쟁력을 높이고, 농약 때문에 안전성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식탁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전국 단위의 친환경 먹거리 공동체가 있기는 하지만, 상품의 신뢰도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웃생산 이웃소비’라는 구호를 내걸고 지역 단위 먹거리 공동체를 만들기로 했다. 이들은 지난달 먹거리 공동체를 출범시켰다. 먹거리 공동체 회원으로 가입한 생산자들은 쌀, 배, 애호박, 토마토, 감자 등을 무농약 농법으로 재배해 소비자 회원들에게 공급하고, 소비자 회원들은 다달이 2만원씩 회비를 내 이 값어치만큼의 작물을 의무적으로 공급받게 했다. 이는 먹거리 공동체 초기 단계에서 생산자를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해서다. 권씨는 “친환경 재배는 농법 자체가 힘든 과정일 뿐 아니라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이 한정돼 있다”며 “소비자 입맛에만 맞추다 보면 생산자를 계속 확대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이들 공무원들은 먹거리 공동체를 출범시킨 뒤 친환경 재배농가를 회원으로 가입시키기 위해 농가들을 찾아 다녔다. 또 구청 직원들의 동참을 끌어내기 위해 지난 9~19일 친환경 작물 무료체험 기간으로 정해 직원들에게 농약을 쓰지 않고 키운 상추과 애호박 등을 거져 나눠줬다. 그 결과 현재 ‘산새농장’ ‘에이스’ 등 농장 2곳과 농민 3명이 생산자 겸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북구청 직원 79명이 소비자 회원으로 가입해 있다. 권씨는 “여러 먹거리 공동체의 실패 요인을 분석해 구청 공무원과 지역 친환경 재배농민들만 회원으로 먼저 가입시키고 있다”며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안해 먹거리 공동체가 활성화되면 지역 주민들에게도 개방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