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시민단체들 정책 토론회
‘4대강 사업 저지 대책위’ 결성
‘4대강 사업 저지 대책위’ 결성
충청지역에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4대강 살리기 사업 반대운동의 막이 올랐다.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등은 14일 오전 청주 와이더블유시에이 강당에서 열린 ‘4대강 정비사업 본질과 대응 방향’ 정책 토론회에서 ‘4대강 사업 저지 충북도민 대책위’ 결성을 발표했다. 염우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꾸린 운하 백지화 충북도민행동을 확대 개편하고, 종교계·학계 등과 결합해 범도민 4대강 사업 대응 체계를 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교수 등 전문가들이 수질·생태·토목·경제·도시계획 등 분야별 검증단을 꾸려 4대강 사업이 지역에 끼치는 영향을 릴레이 기고 등으로 알려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또 “막대한 예산이 4대강 죽이기에 쓰이는 만큼 범국민적인 세금 보상 운동을 벌이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금강·한강 수계 사업 등 지역에서 벌어질 4대강 사업의 허점을 꼬집는 발표도 잇따랐다.
반영운 충북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이시종 민주당 국회의원이 국토해양부에서 입수해 공개한 자료를 빌려, 4대강 사업 예산 16조9천억원(직접 연계 사업비 4조5천억원 제외) 가운데 충북지역 반영 사업비는 8818억원(5%)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반 교수는 충북지역 금강·한강 수계 사업에 건설 시공 7200여억원, 제조업 1600여억원이 투자되며 건설부문 8300명, 서비스 1200명, 제조 700명 등의 취업 유발 효과가 날 것으로 예상했다.
반 교수는 “충주 등 일부 지역에서 개발 효과가 나겠지만 충북지역 전체로 4대강 사업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며, “문화재 훼손, 농촌 붕괴 등 더 큰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강 유역 4대강 사업 문제점을 비판한 박정현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도 “금강 정비사업도 지역경제 활성화 등과 거리가 먼 이름만 바꾼 운하 사업”이라며 “금강 죽이기 저지 대책위원회를 꾸려 사업을 막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