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지부장 등 소속조직 민투위서 제명
“사퇴 책임 싸고 ‘노-노 갈등’ 깊어져”
“사퇴 책임 싸고 ‘노-노 갈등’ 깊어져”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옛 현대자동차노조) 윤해모 지부장의 사퇴 후유증이 커지고 있다.
2007년 12월 2대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장 선거에서 윤 지부장 등 현 집행부를 당선시켰던 현장조직 민주노동자투쟁위원회(민투위)는 최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윤 지부장과 김태곤 수석부지부장 등 2명을 조직에서 제명하고 정창봉 부지부장은 자격을 4개월 동안 정지시켰다. 윤 지부장 등이 조직과 아무런 상의 없이 독자적으로 사퇴를 결심했다는 것이 징계 사유였다.
이에 따라 지난달 9일 제명된 조아무개 사무국장을 포함해 2007년 12월 집행부 선거 때 함께 출마해 당선됐던 민투위 소속 6명 가운데 3명이 조직에서 제명됐다. 특히 제명된 3명은 이번 집행부뿐만 아니라 1995년 결성된 민투위의 의장과 부의장을 돌아가면서 맡거나 민투위가 꾸린 집행부에서 핵심 간부를 지낼 정도로 민투위의 역사를 만들어온 주역들이어서 징계의 적절성을 두고 안팎에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일부 노조원들은 “노조 규약에는 지부장이 사퇴하면 다른 임원은 자동으로 사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민투위가 굳이 사퇴 책임을 묻는다면 윤 지부장만 제명하면 될 것이지 나머지 간부를 제명할 이유는 없다”며 “잘못을 덮기 위해 민투위가 스스로 꼬리를 자른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앞서 윤 지부장은 지난달 25일 민투위 초대 의장을 지낸 뒤 1997년 민투위를 탈퇴한 정갑득 금속노조 위원장을 명예훼손 혐의로 울산 동부경찰서에 고소했다. 정 위원장이 지난달 22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 발언을 문제 삼은 것이다.
당시 정 위원장은 윤 지부장이 올해 임금·단체협상을 벌이던 지난달 15일 집행부 내부 갈등 등으로 지도력이 한계에 이르자 임금·단체협상을 진행할 수 없다며 갑자기 사퇴한 것을 두고 “지부장 사퇴는 조합원 기만행위”라고 비난했다. 또 “연초에 노동부 관계자로부터 6월 사퇴설을 들었는데 이것이 현실화되고 있고, 큰 힘이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한 노조 간부는 “뿌리가 같은 조직의 선후배들이 결국 등을 돌린 것”이라며 “올해 임금·단체협상이 마무리되지 않는 상황에서 윤 지부장 사퇴의 책임을 두고 노-노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편, 노조는 지난달 25~26일 열린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조기 선거를 하기로 결의함에 따라 최근 30명으로 꾸려진 선거관리위원회를 발족시켰다. 현재로서는 다음달 1~9일로 예정된 여름휴가가 끝난 뒤 새 집행부를 뽑는 방안이 유력하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