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편입에 반대하는 청원군 대책위원회 회원들이 7월29일 오후 충북도청을 항의 방문해 정우택 지사와 면담을 요구하고 있다. 청주/오윤주 기자
특별법 처리 결정적 ‘걸림돌’… 충남·북 대립 격화 우려도
충북이 행정중심 복합도시(세종시) 건설에 또 하나의 변수가 됐다. 충북은 세종시 건설에 찬성하지만 충북 청원군 강내·부용면이 세종시에 편입되는 것은 반대하기 때문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충남 연기·공주 등 세종시 예정 지역 72.91㎢를 둘러싸고 있는 청원·연기·공주의 9개면·74개리 234.77㎢를 주변지역으로 설정하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행정도시건설청은 “주변지역 가운데 청원지역은 세종시의 주요 관문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며 “8월10일까지 주변지역 도시관리계획을 주민들에게 공람시키고, 12월까지 규제를 풀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충북과 청원군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청원군 강내·부용면 11개 마을 주민 7600여명이 사는 33.42㎢(청원군 전체 면적의 4%)를 세종시에 떼어줘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세종시로 편입될 경우 각종 규제를 받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장진식(49) 세종시 편입반대 부용 대책위원장은 “세종시로 편입되면 각종 규제로 제한을 받는데다 정서적으로도 충남 쪽 주민들과 달라 섞이기 어렵다”며 “주민투표로 의견을 물어 편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청원군 부용면 이장 33명이 29일 세종시 편입을 반대하며 사퇴서를 냈고, 청원지역 한나라당 당원 100여명도 당을 떠났다. 농사일을 중단한 주민들은 국회, 충북도청 등을 찾아 10여 차례에 걸쳐 편입 반대 집회를 열었다.
이에 앞서 지난 2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 소위원회에서는 청원군 강내·부용면 지역을 세종시에 편입하는 내용을 담은 세종시 특별법이 통과됐다. 그러나 23일 새벽 한나라당 소속 정우택 충북지사, 김재욱 청원군수 등이 중앙당 최고위원회에 참석해 청원지역 제외를 거듭 요구하면서 행정안전위 전체회의가 무기한 연기됐고, 세종시법 처리 자체가 9월 국회로 넘어갔다.
그러나 충청권에 연고를 둔 자유선진당과 공주·연기 주민들은 청원군 강내·부용면의 세종시 편입을 지지하고 있어 자칫 이 문제가 충남·충북 사이의 갈등으로 번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나온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