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마련 토론회 “주변상권 몰락…규제 시급”
경북도에서도 기업형 슈퍼마켓이 해마다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경북도의 조사 결과를 보면, 매장면적 1천∼3천㎡ 규모의 기업형 슈퍼마켓은 2000년 5곳에 머물렀지만 2005년 17곳, 2008년 29곳, 올해 들어 33곳으로 늘어났다. 이마트와 홈플러스 등 매장면적 3천㎡가 넘는 대형 판매시설도 2005년에 16곳에 그쳤지만 올해 들어 26곳으로 40% 늘었다.
경북도는 갈수록 늘어나는 대규모 판매시설 때문에 재래시장 등 영세 상인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진다고 보고 8일 경산시내 경북테크노파크 회의실에서 지역상인과 전문가, 공무원 등 150여명이 모여 대응방안을 찾기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남서울대 원종문 교수는 “대형유통업체가 지역에 들어서면 주변 상권이 몰락하면서 소상공인들의 피해는 몰론 지역 평균 물가상승, 중소 유통업 종사자들의 실업 등 부정적인 여파가 적지 않아 규제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원 교수는 “대형마트 면적이 1% 증가하면 중소유통업의 시장점유율은 0.2% 정도 줄어든다”며 “대형판매점에 대해 새벽과 심야시간대 영업시간을 제한하는 조치는 품목 제한 조치보다 효과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경북대 지역시장연구소 장흥섭 소장은 “대형판매점에 맞서 전통시장이 살아 남으려면 정성스런 마음과 따뜻한 정을 느낄수 있도록 전통시장만의 창의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역에 진출하는 기업형 슈퍼마켓을 규제하는 한편, 전통시장이 되살아 나도록 올해 148억원, 내년에 202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