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를 탄 지체장애인 등 전국에서 모인 장애인들이 8일 울산시청 신관 앞에서 장애인 부모 구속에 항의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0여명 시청앞 밤샘농성
‘예산증액 약속 이행’ 촉구
협상 안이뤄져 장기화 조짐
‘예산증액 약속 이행’ 촉구
협상 안이뤄져 장기화 조짐
전국의 일부 장애인단체들이 장애인 처우 개선을 요구하다 구속된 울산의 장애인 부모 석방 등을 요구하며 울산시청에서 밤샘농성에 들어가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와 전국장애인부모연대 등 전국의 19개 장애인단체 회원 200여 명은 8일 울산시청 신관 앞에서 밤샘 노숙농성에 들어갔다. 휠체어를 탄 지체장애인 30여 명 등 참가자들은 서울과 대구 등지에서 울산시청으로 집결했다.
농성 참가자들은 ‘합의사항 이행’을 요구하며 시청 복지여성국장실에서 단식농성을 벌이다 지난달 22일 구속된 정윤호 울산장애인부모회 회장의 석방에 울산시가 적극 나설 것을 요구했다. 또 “울산시가 지난해 문서로 약속한 장애인 예산 증액 등 장애인 처우 개선 약속을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지체장애 1급인 박경석(50)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대표는 “정 회장이 제기한 문제는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장애인 전체의 문제이며 장애인 생존권과 권리의 문제”라며 “따라서 정 회장의 구속은 우리의 자존심과 인권 및 생존권을 짓밟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울산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전국 장애인단체 회원들이 9일 돌아간 뒤에도 시내 곳곳에서 항의집회를 연 뒤 시청으로 집결하는 방법으로 계속 농성을 벌이면서 시에 재협상을 요청할 방침이다. 하지만 울산시는 허가를 받지 않고 집회를 여는 단체와는 협상을 하지 않는다는 종전의 태도에서 물러서지 않아 사태가 장기화될 우려를 낳고 있다.
한편 시청 주변은 3~15일 바르게살기운동 울산시협의회가 ‘선진의식 함양을 위한 기초질서 지키기 캠페인’ 명목으로 집회신고를 해둔 상태며, 16~30일에는 특수임무수행자회에서 ‘법질서 확립을 위한 거리 캠페인’ 명목으로 집회신고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장애인단체들은 “시가 장기농성을 막기 위해 관변단체에 협조를 요청했다”고 주장했지만 시는 이를 부인했다.
글·사진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