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원들 “기업유치 차질로 무산 우려”…시장에 대책 강력촉구
대구시의회 의원들이 세종시 때문에 대구의 현안사업들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시의원들은 23일 열린 시정질의를 통해 “수십년째 지역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던 대구가 첨단의료복합단지 등을 유치하면서 먹고 살 길이 열렸지만 세종시 때문에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며 김범일 대구시장의 강도 높은 대응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하지만 김 시장은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이 구체화되면 그때 가서 태도를 밝히겠다”며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해용(38·동구) 의원은 “세종시 여파로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는 첫삽도 뜨기 전에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며 “정치적인 견해에 따라 생각하지 말고 대구시민의 생존권 차원에서 대처해야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어 “세종시에 기업들이 몰리면 첨단의료복합단지 외에도 혁신도시, 국가산업단지, 디지스트, 테크노폴리스 등 현재 건설중인 지역 산업단지가 치명적인 타격을 받는다”며 “대구시가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고 있느냐”고 물었다.
류병노(54·달서구) 의원도 “현재 논의되는 계획안을 보면 대구혁신도시의 산업단지 분양값은 3.3㎡에 250만∼280만원선이지만 세종시는 3.3㎡에 50만원선이라”며 “분양값이 5배 넘게 차이가 나는데 어느 기업이 지역의 혁신도시를 찾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시장은 “세종시의 산업단지 분양값이 그렇게 결정된다면 지역의 모든 공공사업은 중단해야 마땅하다”며 “12월 중순쯤 결정될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대구시의 주장이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시의원들은 구체적인 대응이나 행동을 요구했지만 김 시장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사 표현은 전략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현재는 그냥 지켜보겠다”고 선을 그었다.
박돈규(56·달서구) 의원은 “중앙정부의 결정이기 때문에 추이를 지켜본 뒤 나중에 대처하겠다는 대구시장의 생각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역주민과 지역의 정·관계가 함께 고민하고 다른 지역과 공동대응하는 등의 방법으로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