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자치협 “비리퇴출 인사 배제” 촉구
조선대 구성원들이 교육부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법인 이사진 선임을 앞두고 바짝 긴장하고 있다.
조선대는 25일 “20일자로 임시 이사 9명의 임기가 모두 끝나 법적으로 이사 부존재 체제인 상황”이라며 “26일 사학분쟁조정위 회의에서 새 이사진을 선임할 예정이어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학 이재규 직원노조 위원장은 “사학분쟁조정위가 이미 교육부·학내 구성원·옛 경영진 등 3자의 이사비율을 결정했다는 설이 무성하다”며 “이번에는 민주적인 정이사들이 선임돼 학교가 정상운영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앞서 교수평의회·노동조합·총학생회·총동창회로 구성된 대학자치운영협의회(대자협)는 24일 성명을 내고 “사학분쟁조정위는 부정·비리로 학교에서 퇴출당한 인사들을 배제하고 민주적 정이사를 선임하라”고 촉구했다.
대자협은 “조선대는 부정비리 집단 때문에 광주·전남 시도민에 의해 설립된 학교의 역사가 왜곡되고 사유화됐던 쓰라린 기억을 갖고 있다”며 이렇게 강조했다.
대자협은 또 “학교의 정상화는 학생들한테 학습권을 보장하고 안정적인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며 “사학분쟁조정위에서 비리집단을 이사로 선임하면 학내분규와 학사마비는 불을 보듯 뻔하다”고 걱정했다.
조선대는 지난 1988년 학내 민주화 운동으로 박철웅 전 총장 등 옛 경영진이 물러나고 지난해 7월까지 임시이사 체제가 이어져 왔다. 교육부는 수차례 정이사 선임을 약속하고도 지난 5월 임기 6개월인 한시적 임시이사 9명을 선임했으나, 최근 임기도 끝나 학내에 의사결정기구가 없는 상태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