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들의 생활만족도 조사 결과
부산인권사무소 주거조사…평균면적 30.3㎡ 불과
대부분 15년이상 낡은 건물에 부엌·거실 등도 없어
대부분 15년이상 낡은 건물에 부엌·거실 등도 없어
부산에 사는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이 한 사람 평균 주거면적도 안되는 좁고 낡은 주거지에서 2~3명 이상이 함께 지내는 등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불편을 겪으며 생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는 최근 부산에서 이주노동자가 많이 사는 사상구와 사하구 일대 이주노동자들의 사내·외 기숙사와 독립주거 등 103곳을 대상으로 주거실태를 조사했더니, 평균 주거면적이 30.3㎡(9평)로, 지난해 전국 평균 주택사용면적 69.3㎡(21평)의 절반에도 못미쳤다고 3일 밝혔다. 특히 사외 및 독립주거는 평균 주거면적이 16.9㎡와 16.5㎡(5평)로,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한 사람 평균 주거면적 22.8㎡(7평)에도 못미쳤다. 이런 주거지에서 이주노동자들은 가구당 평균 2.43명이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주노동자 주거지의 평균 방수는 1.5개지만, 사외 및 독립주거의 70.3%가 방 하나짜리 이른바 쪽방으로 조사됐다. 방 하나에 함께 거주하는 인원은 1명에서 많게는 9명까지 됐다. 실제 조사과정에선 9.9㎡(3평) 단칸방에 6명이 함께 사는 사내 기숙사도 있었다. 주거지의 건축연수는 평균 10~15년이나, 전체의 47.8%, 특히 사외 및 독립주거의 60.7%가 15년 이상된 낡은 건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전체의 77.3%는 방 외에 거실이나 마루가 따로 없고, 부엌이 없는 곳도 42.7%나 됐다. 부엌이 있어도 3분의 1은 별도 공간이 아닌 침실 등에 있는 간이조리시설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실조차 없는 곳도 3% 가량 됐다. 화장실이 있어도 69.7%는 외부인과 공동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목욕시설이 있는 곳도 44.7%밖에 되지 않았지만, 이마저도 54.3%는 공동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이주노동자들은 가장 큰 생활 애로점으로 부억, 목욕·화장시설 등 기본시설 이용을 지적했다. ▶ 표 참조
이광영 부산인권사무소장은 “이주노동자의 기숙사가 대부분 공장 안팎의 창고나 컨테이너시설과 같은 비주거용 주택에 해당해, 추위와 더위는 물론이고 화재 등 재난과 안전사고 등에 매우 취약했다”며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전용 기숙사나 최저 기준의 주거공간 확보와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인권사무소는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4일 오후 3시 사하구청 본관 2층 상황실에서 ‘부산 지역 이주노동자 주거실태 발표 및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심포지엄’을 연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