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해각서 체결 기자회견 취소
“학내외 의견수렴 충분히 할 것”
“학내외 의견수렴 충분히 할 것”
부산·경남권의 대표적인 국립대학인 부산대와 창원대가 12일 통합 추진 양해각서를 체결하려던 계획을 취소해 통합 논의가 원점으로 돌아갔다.
두 대학은 애초 지난 연말부터 각각 상대 대학과의 통합 추진 방침을 언론에 밝히면서 이날 부산대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통합 추진을 공식화하려 했으나 끝내 취소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관련해 부산대는 이날 “특정 대학과의 양해각서 체결을 뒤로 미루는 대신 창원대를 포함한 부산·경남권 대학과의 세부 통합모형을 개발하고, 학내 의견 수렴 및 지역사회와의 의견 교환 등을 먼저 진행하기로 했다”며 “통합모형 전담연구팀을 구성해 연구 결과가 나오면 해당 대학과 의견 조율을 하겠다”고 밝혔다. 통합 대상이 창원대 뿐만 아니라 부산·경남권 전체 국립대학으로 확산돼, 사실상 창원대와의 통합 논의는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부산대 쪽은 “애초 통합 논의를 시작하는 선언 차원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공동통합추진위를 구성해 본격적인 논의에 나서려 했으나 학내외 의견 수렴을 충분히 하면서 지역의 다른 대학에서 나타난 에상치 않은 불편 등을 고려해 일정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양해각서 체결을 취소한 것은 창원대 쪽의 사정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전형준 창원대 기획협력처장은 최근 “공동기자회견은 부산대에서 먼저 제의해 검토한 것이 사실이나 아직 시기상조라는 결론이 내려졌다”고 밝힌 바 있다. 부산대와 통합 추진 얘기가 나온 뒤 창원대 교수회와 직장협의회, 노조 등 학내 조직들이 홈페이지 등을 통해 “구성원들의 동의 또는 충분한 논의 없이 통합을 추진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나서는 바람에 대학본부 쪽이 한발 물러설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특히 7월 창원·마산·진해 통합시 출범을 앞두고 창원대가 인구 110만명의 거대 통합시를 대표하는 독자적인 국립대로 남아야 한다는 지역사회의 여론도 만만찮은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창원대는 27일 공청회를 열어 부산대와의 통합은 물론, 통합시의 위상에 걸맞은 국립대 모형을 만들어 독자생존하는 방안과 3년 전부터 교착상태에 빠진 경상대와의 통합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고 대학 안팎의 의견을 듣기로 했다.
부산대 관계자는 “대학간 통합이라는 큰 문제가 학내외 의견 수렴 절차 없이 대학 수뇌부간 협의에 의해 불거져 나온 것이 결국 통합 논의를 원점으로 돌리는 요인이 된 것”이라며 “통합의 당위성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민주적인 절차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