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한화공장 추가유치 타격 예상되는데도
“영향 없을것” 논평…4대강 ‘호들갑’과 대조
“영향 없을것” 논평…4대강 ‘호들갑’과 대조
울산시의 정부 눈치 보기가 도를 넘고 있다. 지역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사안에는 사실상 침묵하면서 지역 발전과 거리가 있는 국가사업에는 팔을 걷고 나서는 행보를 계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는 정부가 11일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하자 “세종시 수정안이 지역 기업 유치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는 공식 견해를 내놨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착공한 울주군 삼남면 삼성에스디아이 울산공장의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 생산공장과 이달부터 본격 생산에 들어간 한화석유화학 울산공장의 태양전지 생산공장은 장기적으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세종시에 들어설 삼성에스디아이 발전용 2차전지 생산공장과 한화석유화학의 연간 1기가와트 규모의 태양전지 생산공장을 울산에 추가로 유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무산됐기 때문이다.
더구나 세종시 수정안은 울산 중구 우정동에 2012년까지 수도권의 11개 공공기관이 입주하는 혁신도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도 시는 별다른 태도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혁신도시 전체 터 298만㎡ 가운데 14만2000㎡에 2030년까지 민간기업과 대학연구소 및 부가가치가 높은 신성장산업업종을 유치하려 하고 있지만 땅값이 세종시보다 훨씬 비싼 3.3㎡에 약 300만원이나 돼 자칫 산·학·연 클러스터 터가 장기간 방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시는 부산·대구·경남·경북·울산 등 영남의 5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4대강 사업의 직접적인 영향권 밖에 있는데도 4대강 사업이 고비를 맞을 때마다 정부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 지난해 11월 4대강 사업 관련 예산이 국회에서 표류하자 영남의 5개 시·도지사 명의로 국회에 “4대강 살리기 사업 관련 예산을 조속히 합의 처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한 달 뒤 박맹우 울산시장이 4대강 사업의 시작을 의미하는 경북 달성군 달성보 건설현장으로 달려갔다. 앞서 2008년 11월에는 대운하 건설이 사실상 어렵게 되자 국회에서 영남의 시·도지사들과 함께 낙동강 물길 살리기 조기 시행을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홍근명 울산시민연대 공동대표는 “시가 실질적인 연관성이 적은 4대강보다는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인 혁신도시 조성에 차질이 없도록 정부에 더 강한 주문을 하는 것이 맞다”며 “6월 지방선거를 의식하는 것이 아니라면 지금일수록 소신행정을 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